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제4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근대 한글 연구소》특별전이 2023년 1월 29일(일)까지 개최된다. 

[사진 김경아 기자]
제4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근대 한글 연구소》 특별전이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작품 제작 과정의 숨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한글공작소' 공간[사진 김경아 기자]

한글실험프로젝트는 예술 및 산업 콘텐츠로서의 한글의 가치를 조명하는 기획특별전이다. 2016년 《훈민정음과 한글디자인》을 시작으로 올해 열리는 제4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근대 한글 연구소》에서는 근대 시기 한글 자료를 예술의 관점에서 재해석했다. 

전시 작품의 제작 바탕이 된 자료는 주시경 선생이 남긴 최초의 우리말 사전 원고 「말모이」와 국어 문법서 「말의 소리」, 지석영이 편찬한 외국어 교재 「아학편」, 프랑스인 선교사가 편찬한 한국어 문법서 「한어문전」, 한글 띄어쓰기를 선구적으로 적용한 「독립신문」 등이다. 

[사진 김경아 기자]
주시경 선생의 업적을 한데 모아 그를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만든 책 '주시경선생유고' (1939)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지석영이 편찬한 조선시대 영어교재 '아학편(兒學編)' [사진 김경아 기자]

전시는 ‘근대 한글 연구소’라는 공간을 설정하여 4개의 연구실로 구성하였다. 1부 ‘동서말글연구실’에는 근대 시기 한글과 서양 언어의 소통이 반영된 「한어문전」등의 자료를 재해석한 작품을 보여준다.  2부 ‘한글맵시연구실’에는 가로쓰기, 풀어쓰기 등 근대 한글 사용 방법의 변화를 작가의 시각에서 새로 표현한 작품을 전시한다.  3부 ‘우리소리실험실’에서는 근대 시기 대중에 큰 인기를 끌었던 판소리계 납활자본 고소설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을 소개하며, 4부 ‘한글출판연구실’에서는 근대 한글 출판물을 창작의 원천으로 활용한 작품을 선보인다.

[사진 김경아 기자]
이화영, '한HAN글文', 한글의 제자 원리인 '하늘, 天, SKY', '땅, 地, EARTH', '사람, 人, HUMAN' 세 단어를 그래픽 재료로 사용했다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윤새롬, '어느 날의 조각_선반 02'. 주시경 선생의 저서 '말의 소리' 중 한글 가로 풀어쓰기 예시를 재해석한 작품으로 모음자 'ㅓ, ㅗ, ㅏ'를 이용해 제작했다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유정민, '5개의 기역' 긴 의자 , '아야어여오 '책장. 서양인의 시선에서 생소한 문자였던 한글을 바라보는 시선이 반영된 '금단의 나라조선(1880)'에서 영감을 얻었다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이청청, '낯섦과 새로움, 그리고 연결'. 근대 한글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은 이미지를 패션으로 표현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권중모, '획을 주름 접다 시리즈'. '한불자전', '성경직해' 등에 사용된 붓글씨를 닮은 근대 연활자 서체에서 영감을 받았다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스튜디오 페시, '자모 타일'. 최초의 순 한글 신문이며 띄어쓰기를 사용한 '독립신문' 창간호 논설의 일부를 발췌하여 작품으로 구현했다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김무열, '권점: 띄어서 쓰기'. 근대 국어 교과서 '신정심상소학'에 둥근 모양의 권점(圈點)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한동훈, '말의 형태' 주시경 선생의 저서 '말의 소리'에 제시된 가로 풀어쓰기 예시에서 영감을 받았다 [사진 김경아 기자]
[사진 김경아 기자]
김현진, '한글 광상'. 글꼴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디자이너로서 연활자 서체를 재해석하여 기존의 서체로부터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사진 김경아 기자]

전시의 관람시간은 월요일~금요일, 일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토요일은 밤 9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휴관은 1월 1일, 설날 당일, 추석 당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