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스피릿은 올해 삼일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대일항쟁기 독립운동에 헌신한 독립운동가 10명을 선정했다. 코리안스피릿이 선정한 독립운동가는 석주 이상룡(1858-1932), 홍암 나철(1863-1916), 우당 이회영(1867-1932), 홍범도 장군(1868-1943), 남자현 여사(1872-1933), 주시경(1876-1914), 단재 신채호(1880-1936), 서일(1881-1921), 김좌진 장군(1889-1930), 이봉창 의사(1901-1932)이다.

2월에 소개한 석주 이상룡 선생에 이어 홍암 나철 선생을 소개한다.

대일항쟁기 홍암 나철의 우국적 행보와 항일투쟁, 그리고 국어와 국사 등 민족 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와 영향력은 실로 지대하다. 특히 그가 주도한 단군정신의 부흥운동은 우리 근현대사에 국조 단군을 바로 알게 함으로써 민족의 정체성 확인의 근거를 마련해 주었을 뿐 아니라, 대일항쟁기 총체적 항일운동의 정신적 배경으로 작용했다. 그래서 나철을 ‘독립운동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선생이 태어난 전남 보성군에서는 벌교읍 칠동리 금곡마을 선생의 고향에 기념관 등을 건립하였고, 선생의 숭고한 민족정신을 고취하고 미래의 후손들에게 역사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힘쓰고 있다. 또한, 벌교에서 해마다 민간단체 주도로 추모제를 개최하는 등 선생의 나라사랑 정신이 헛되지 않도록 선양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홍암 나철은 1863년 전남 보성군 벌교읍 칠동리 금곡 마을에서 나용집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초명이 인영(寅永)이다. 29세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훈련원(訓練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를 지내다가 일제의 침략이 심해지자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선생은 오기호·이기·정훈모·김인식 등과 함께 국제여론을 파악하고 민간외교항쟁을 벌이기로 결정하였다. 이들은 카쓰라-태프트밀약과 포츠머스조약 체결을 앞두고 있는 시점으로, 국제정세가 불리하게 전개될 것을 예상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국제여론에 호소하고자 하였다. 선생은 외부대신 이하영(李夏榮)을 찾아가 이 문제를 협의한 후 대한제국의 정식대표로서 강화회의 참석을 위한 주선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일본공사 하야시의 방해 책동으로 도미외교항쟁이 무산되고 말았다.

1905년 6월 동지 이 기(李沂)·오기호(吳基鎬) 등과 같이 일본에 건너가 선생은 정계요인을 두루 방문하면서 "동양평화를 위해 한(韓)·청(淸)·일(日)이 동맹할 것과 일본은 한국에 선린의 교의로서 독립을 보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들 일행이 대일외교항쟁을 전개하던 중 1905년 11월 18일 '을사보호조약' 강제체결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이에 외부대신 박제순에게 "목이 잘리더라도 협약에 동의하지 말라"는 전문을 보내고 침략 원흉인 일본특파전권대사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에게 항의 서한을 발송하였다. 아울러 일왕에게도 '을사보호조약' 강제체결이 부당함을 주장하는 항의서한을 보내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대일외교항쟁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게 되자, 1906년 1월 24일 일단 귀국하였다. 선생은 국내의 증폭되는 배일감정을 목도하면서 지속적인 외교항쟁을 모색하게 되었다. 여러 차례에 걸친 외교항쟁에도 일제는 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고 내정간섭을 노골화하자, 선생은 투쟁 방략을 바꾸기로 하였다. 선생과 동지들은 ‘을사5적 처단’을 위해 일본에서 단도 2자루를 구입한 후 1906년 12월 일단 귀국하였다.

귀국 후 1907년 을사오적 참정대신(參政大臣) 박제순과 내부대신(內部大臣) 이지용이 정권 싸움을 하는 것을 보고, 폭발장치를 한 상자를 보내 이들을 처단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에 다시 오적(五賊)을 제거하기로 모의하고 동지 200여 명을 규합하고 자금 모집에 진력하였다. 그리하여 박대하(朴大夏)·이홍래(李鴻來) 등과 같이 권총을 구입하여 수차례 거사를 시도하였다.

전남 보성에서 태어난  홍암 나철은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해 다양한 외교투쟁을 벌인데, 이어 민족정신을 보존하고 이를 통해 항일투쟁에 나섰다. [사진출처=보성군]
전남 보성에서 태어난 홍암 나철은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해 다양한 외교투쟁을 벌인데, 이어 민족정신을 보존하고 이를 통해 항일투쟁에 나섰다. [사진출처=보성군]

1902년 선생은 다시 의거를 계획하였으나 서창보(徐彰輔)가 피체되어 사건 전모가 폭로되자 평리원(平理院)에 자수하였다. 10년간의 유형(流刑)을 선고받아 그해 7월 12일 여러 동지와 함께 지도(智島)에 유배되었으나 11월 병보석으로 풀려났다.

이후 대한자강회, 호남학회 등에서 활동하는 등 계몽운동에 투신하기에 이르렀다. 선생은 민족교육을 통한 애국심 배양을 주장하고 국어교육을 강화하였다. 국어교육은 단순한 문자 습득에 그치지 않았다. 국어는 우리의 말과 문자이자 민족문화의 정수(精髓)였기 때문이다. 또한 선생은 1907년 국채보상운동에도 적극 참여하는 등 주권수호에 앞장섰다.

그러는 중에도 일제의 침략은 날로 심해갔다. 선생은 이를 목도·체험하면서 약육강식에 의한 국제질서를 점차 인식하였다. 근대화된 일제에 직접적인 저항보다 민족정신의 보존이 선생에게 절실한 문제로 다가왔다. 이는 국혼·민족혼은 단군신앙에 근거한 단군교 창시로 이어졌다.

선생은 민족갱생의 길은 국조단군(國祖檀君)의 교(敎)의 부활에 있음을 깨달았다. 경술국치가 있기 전해인 1909년 1월 15일(음)에 선생은 전부터 뜻을 같이 하고 또 함께 구국 운동에도 종사하던 오기호(吳基鎬)·이기(李沂)·김인식(金寅植) 및 유근(柳瑾)·최전(崔顓)·강우(姜友)·정훈모(鄭薰模) 등 수십 명과 함께 단군 신위 앞에서 제천(祭天)의 큰 의식을 거행하고 단군교(檀君敎) 포명서(佈明書)를 널리 세상에 발표하며, 구국 종교로서의 단군교 포교를 선포하였다. 국운의 회복은 애국 정객 몇 사람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전 민족이 일치 단합하여 생명의 근본체인 단군 대황조(大皇祖)를 지성 숭봉하고 그 교화의 큰 은혜 아래서 신화(神化)의 큰 힘이 없는 한 성취할 수 없다고 강조하면서 온 국민이 단군 황조의 교화 밑으로 크게 뭉치어 신의 힘으로 국운 회복을 이루어 보자고 했다.

이러한 대종교에 예관(睨觀) 신규식(申圭植)·은계(隱溪) 백순(白純) 등 많은 지사·청년들이 입교, 1910년 6월에는 교인 수가 2만여 명에 이르렀다.

대종교는 민족종교로서뿐만 아니라 일제침략에 항거하여 국권을 회복하기 위한 독립운동단체의 구심체였다. 당시 독립운동가 가운데 대종교 관련인사는 상당수였다. 나철·김교헌(金敎獻)·윤세복(尹世復) 등은 교주로서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또한 청산리, 봉오동 대첩을 거둔 서일(徐一), 김좌진, 홍범도 장군, 이범석(李範奭)도 대종교 교인이었다. 박은식(朴殷植)·신채호(申采浩)·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이상룡(李相龍)·신규식(申圭植)·유동열(柳東悅)·이상설(李相卨)·박찬익(朴贊翊)·김승학(金承學)·김두봉(金料奉)·안희제(安熙濟)·서상일(徐相日)등도 교인이자 당대를 대표하는 우국지사·독립운동가였다. 기독교인 주시경(周時經)도 대종교로 개종한 후 더욱 국문연구에 몰두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국내에서의 포교활동이 금지되자 선생은 동지들과 함께 백두산 북록 청파호를 답사한 후 중국 길림성 화룡현 삼도구로 대종교총본사를 이전하였다. 총본사를 이전한 후 청일학교(靑一學校) 등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하고 포교활동을 통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이에 교세가 확장되어 대종교 교도수가 30만에 달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도 대종교 포교활동에 탄압이 가해져 1914년 11월 중국 화룡현 지사로부터 대종교 해산령이 내려졌다.

선생은 중국으로 대종교총본사를 이전한 후 교단을 정비하고 서울로 돌아와 남도교구에서 교단조직과 포교활동을 전개하였다. 1915년 조선총독부는 대종교를 종교가 아닌 항일독립운동단체로 규정하고 남도본사를 강제 해산시켰다. 이에 비분강개한 선생은 서울에 있는 남도본사 천진전을 떠나 1916년 8월 15일 구월산 삼성사에서 순국하였다. 아들 둘은 목단강 형무소에서 망국의 한을 품은 채 옥사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자료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대종교 중광(重光) 60년사(대종교 총본사) 
나철(羅喆)의 민족종교 중광(重光)과 항일독립운동(김호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