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지정 번호가 어느덧 2000호에 이르렀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보물 제2000호로 1801년 당시 화가 김홍도가 그린 8폭 병풍 ‘삼공불환도’를 지정했다.

삼공불환도는 김홍도가 순조의 천연두 완쾌를 기념해 만든 4점의 병풍 중 한 점이다. 경물을 옆으로 비스듬하게 배치한 사선 구도를 활용해 역동감을 준 그림이다. 강을 앞에 두고 산자락에 자리한 큰 기와집과 논밭, 손님치레 중인 주인장, 심부름 하는 여인, 일하는 농부, 낚시꾼 등 여러 요소를 짜임새 있게 그려 넣어 전원생활의 한가로움과 정취를 표현했다.

중국 고전에 기초해 김홍도가 조선 백성들의 생활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말년의 창작활동을 대표하는 작품이자 인물, 산수 등 여러 분야에 두루 뛰어났던 그의 역량이 유감없이 발휘된 역작이다.
 

김홍도의 삼공불환도가 보물 제2000호로 지정되었다. [사진=문화재청]
김홍도의 삼공불환도가 보물 제2000호로 지정되었다. [사진=문화재청]

한편, 문화재청은 지난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그해 12월 서울 숭례문(국보 제1호) 등 116건을 국보로, 이듬 해 1월, 서울 흥인지문(보물 제1호) 등 423건을 보물로 일괄 지정한 이후 지금까지 총 336건의 국보와 2,132건의 보물을 지정했다. 그러나 동일 판본에서 인출한 서책 등의 경우 부번으로 지정하기에 실제 지정건수는 2,000건 보다 많다.

한편, 문화재청은 삼공불환도 외 3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보물 제1998호로 지정된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17세기 중엽 전라‧경상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조각가 희장(熙壯)을 중심으로 총 9명의 조각승이 공동으로 참여해 1665년에 완성한 작품이다. 제작연대와 제작자, 봉안처(奉安處) 등 조성 과정에 대한 학술 정보를 잘 구비하고 있어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보물 제1998호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사진=문화재청]
보물 제1998호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사진=문화재청]

보물 제1999호에는 대구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이 지정되었다. 높이 2m 이상의 대형 불상조각으로, 17세기에 활동한 조각승 현진(玄眞)의 작품이다. 온화한 얼굴과 무게감 있는 신체 표현 등 현진의 개성을 잘 보여주며, 17세기 전반 목조 불상 중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하는 작품이다.

이번에 지정된 네 번째 보물은 제1281-6호에 지정된 ‘자치통감 권129~132’이다. 1436년에 간행한 자치통감의 판본 가운데 권129~132에 해당하는 책이다. 처음 간행 당시에는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찍어 총 294권 100책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편찬했다. 특히, 권129와 권130은 처음 확인된 내용이라는 점에서 1463년 간행된 자치통감의 전체 현황을 파악하고, 조선 전기 인쇄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 및 활용 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