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반적 국가이미지에 대한 우리 국민의 평가는 54.4%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외국인들은 80.3%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문화체육관관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은 우리나라를 포함 16개국 8,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실시한 ‘2018년도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조사 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했다.

해외문화홍보원은 지난 22일 '2018년도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은 지난 22일 '2018년도 대한민국 국가이미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조사결과,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관해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분야로는 한류, 기초예술 등 ‘현대문화’가 36.2%가 1위이며 이어서 경제가 18.1%, 안보 17.8%, 문화유산 10.7% 순이다. 아시아와 미주는 현대문화, 유럽과 아프리카는 안보, 인도와 러시아는 경제에 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했다. 또한 정보습득 매체는 SNS 인터넷 등 온라인 매체가 46.6%, 방송이 33.4%, 신문 및 잡지 9.5% 순이다. 대다수 국가가 온라인 매체로 우리나라 정보를 접하는 반면 일본과 영국, 독일, 미국은 방송 의존도가 높다.

외국인에게 ‘한국’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이미지는 한식(40%)이다. 이어 케이팝(22.8%), 한국문화(19.1%), 케이뷰티(14.2%)가 뒤를 잇는다. 전반적으로 한류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핵심어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보는 국가이미지 영향요인으로는 과거 한국을 부정적으로 인식했던 북핵문제 이슈를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평가해, 한반도 평화조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대외적으로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나라는 동남아(인도네시아, 태국)와 중남미(브라질, 멕시코), 러시아 등이며, 서구권인 프랑스와 독일, 호주, 미국, 영국의 긍정적 평가비율도 높다. 다만 일본은 긍정 20%로 긍정평가비율이 낮다. 지난해 한일 민간단체들이 실시한 양국 국민의 인식조사에서도 상호 호감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한국인의 일본인에 대한 인상은 긍정 28.3%, 보통 21.1%, 부정 50.6%이며, 일본인의 한국인에 대한 인상은 긍정 22%, 보통 30.8%, 부정 43.3%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외국인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답변은 65.7%로, 우리 국민이 인식하는 긍정적 변화(48.6%)보다 높았다. 평가요인과 관련해 평창동계올림픽과 페럴림픽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74%가 답했으며, 지난해 4월 열렸던 남북정상회담도 국가이미지 제고에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외국인들은 대한민국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 모든 국가에서 ‘남북문제의 평화적 해결(40.8%)’이라고 답했고,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국가와 남아공에서는 ‘관광객 유치를 위한 해외홍보’, 일본은 ‘외국인에 친절한 국민 태도’를 두 번째 과제로 꼽았다.

해외문화홍보원은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국가별 친밀도와 분야별 강약점을 고려해, 국가별로 차별화된 해외홍보를 추진하겠다. 특히 인접국가인 일본에는 정치, 외교적 관계와 별도로 민간 차원의 문화교류가 활발하게 이어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