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북한 지역 식물 3,523종이 담긴 ‘조선식물지’와 ‘국가생물종목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북한에서는 작약을 함박꽃으로, 자도나무는 추리나무로 부르는 등 약 50%인 1,773종의 식물명이 남한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명이 다른 것을 분석하면 외래어 순화, 비속어 배척 등 남북한의 정책 차이가 18%정도이고, 합성명사(-나무, -풀 등)의 유무와 같은 단순한 차이가 약 10%, 두음법칙의 미사용 등 표준어 표기법 차이가 약 7%였다. 이밖에 기준명(속명)의 차이나 문화의 차이도 있다.

대표적으로 미나리아재비목에 속한 작약을 북한에서는 함박꽃으로 부르며 장미목에 속한 자도나무는 추리나무로 불린다. 마디풀목에 속한 소리쟁이는 북한에서 송구지로 부르며 나물로 식용한다.

북한에 분포하는 식물 '장지석남' [사진=환경부]
북한지역에 분포하는 식물 '장지석남' [사진=환경부]

남한의 경우 국명을 최초 부여한 문헌의 선취권을 인정하여 국명이 정하는 반면, 북한의 경우 국가 또는 일부 학자에 의해 제시된 통일된 정책적 기준으로 식물명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한자어, 외래어, 비속어 등은 대부분 식물명에서 배제하며 지역 명칭 사용도 피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북한지역에 분포하는 식물 '들쭉나무' [사진=환경부]
북한지역에 분포하는 식물 '들쭉나무' [사진=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를 토대로 ‘국가생물종목록’과 북한의 ‘조선식물지’의 차이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을 15일 발간했다. 이 책은 남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칭을 나란히 기록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만들었다. 또한, 북한 지역에서만 분포하는 식물과 남한 문헌에 기록된 적이 없는 한반도 자생 식물은 별도로 표시했다.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은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www.nibr.go.kr) 생물다양성 이북(E-book) 코너에서도 볼 수 있다.

[자료=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종목록’과 북한의 ‘조선식물지’의 차이점을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을 발간했다.  [자료=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이 국내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한반도 자생식물의 현황 파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분단 이후 지속적으로 달라지고 있는 남북한 식물명의 현황과 원인을 분석하고 식물명 통일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총체적인 규명을 위해서는 남북한 생물표본의 상호 교환, 연구자들의 공동 조사 등의 남북협력이 필수다.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이 남북한 교류의 징검다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