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도 지음 "열일곱 살이라고 시를 모르지 않아요" 입체 표지. 이미지 작은숲
조재도 지음 "열일곱 살이라고 시를 모르지 않아요" 입체 표지. 이미지 작은숲

조재도 시인이 펴낸 《열일곱 살이라고 시를 모르지 않아요》(작은숲, 2025)는 입시 공부에 찌든 “이 땅의 청소년에게 들려주는 시 이야기”이다. 이 책의 발간은 한 고등학생의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5년 전 저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학 강연을 했다. 강연이 끝나고 질의 시간에 명호라는 학생이 손을 들고 말했다. “중학교 때까지 학교에서 시를 배우기는 했는데 아직도 시가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고등학교에서는 시가 무엇인지 꼭 알면 좋겠습니다.”

조재도 시인은 명호에게 대답을 했다. 그런데 그 대답이 계속 걸렸다. 그 대답이라는 게 참고서에서 나오는 수준을 못 벗어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어 “내가 다시 똑같은 질문을 받는다는 나는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좋다, 그럼 시와 함께한 내 인생 이야기를 통해 시가 무엇인지를 말해 주자, 생각하게 되었다. 한 편의 시가 사람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시를 알고 감상하고 더 나아가 시를 직접 쓰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인생의 풍요로움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었다. 시에 대해 아무리 이러쿵 저러쿵 말하는 것보다는 시와 함께 산 인생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자. 이런 생각에서 조재도 시인은 《열일곱 살이라고 시를 모르지 않아요》를 썼다. 명호가 한 질문, “시가 무엇인지”에 답하듯, 편지글 형식으로 써내려갔다.

저자는 이 책에서 국내시 16편, 외국시 10편 모두 26편을 다루었다. 이 책에 소개한 시들은 조재도 시인이 처음 시를 쓰기 시작하던 대학 청년기부터, 1985년 《민중교육》지를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시를 쓰면서 그리고 인생을 살아오면서 저자의 영혼이 성숙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이 시들을 저자는 읽은 것이 아니라 ‘겪었다’라고 말한다.

“대나무가 자랄 때 마디를 통해 줄기가 자라듯, 이 책에 소개하는 시들은 내 영혼의 성장에 디딤돌 같은 역할을 해주었단다. 내 인생에 들어와 박힌 시. 그러니까 나는 이 시들을 읽은 것이 아니라 ‘겪었다’고 말할 수 있어. 내 인생에 세게 부딪혀 어렵고 힘든 삶을 살아낼 수 있는 힘을 준 시.”

이 시들은 저자의 영혼에 스며들어 살과 피가 되었고다. 어떤 시는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캄캄한 어둠 속에서 벼락치듯 저자를 일깨워주었고, 또 어언 시는 일상에서 모닥불처럼 은근히 타올라 저자 삶의 구들장을 따뜻이 덥혀주기도 했다.

조재도 지음 "열일곱 살이라고 시를 모르지 않아요" 표지. 이미지  작은숲
조재도 지음 "열일곱 살이라고 시를 모르지 않아요" 표지. 이미지 작은숲

저자는 이 땅의 많은 청소년이 “시가 이렇게 사람의 삶에 녹아들어 그 사람의 인생과 함께할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을 갖기를 바란다.” 참고서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골치 아프고 어렵고 딱딱한 것이 아니구나! 알기 바란다.

조재도 시인은 시 이야기 첫 벗째로 김소월(1902~1934)의 시 ‘박넝쿨 에헤야’를 다룬다. 이 작품은 사후인 1939년 《여성 42호》에 발표되었다. 민요적 향토적 색채가 짙은 이 작품은 그의 시 세계인 한의 세계를 노래한다.

“사람은 자기 자신만이 전부일 때 지옥에서 벗어나지 못해. 인간이나 자연이나 욕망대로 하자면 못할 게 없겠지. 그러나 하룻밤 새 찬서리에 시들어 버린 박넝쿨처럼, 봄이 와 만개한 복숭아꽃이 흔적도 없이 시들어 버린 것처럼, 자기 뜻대로 되지 않는 게 세상의 이치야. 소월은 이러한 인생의 숨을 뜻을 민요적이고 향토적인 이 시에 담아 이야기하고 있다.” 조재도 시인의 설명이다.

조재도 시인은 윤극영 시인의 시 ‘반달’을 초등학교 때 동요로 접했다. 시인은 ‘반달’을 부를 때 특히 1절의 마지막 “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 나라로”에 강하게 끌린다고 했다. 이 부분은 맨 첫 소절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의 이미지와 연결되어 험난한 바다를 헤쳐 가는 작은 조각배를 연상시킨다는 것이다. “높고 애절한 선율에 실린 이 가사는 나는 한껏 창공에 밀어 올려 끝없는 영원의 세계를 그리워하게 해.” 저자는 ‘반달’을 통해 존재의 시원과 그로부터 번져 나가는 상상력의 파동을 마음껏 느낄 수 있었다.

저자는 마지막으로 우에다 신고라는 일본의 다섯 아이기 쓴 ‘눈’이라는 3행 시를 소개한다.

옷 위에 멈췄다가
안으로 숨었다가
잠들어 버렸다( 우에다 신고,  '눈'  전문)

이 시를 읽고 저자는 전율했다.

“일본의 다섯 살 어린이가 쓴 3행 스무 글자로 된 이 시를 읽고 나는 몸에 전율이 일었어. 머리를 망치로 쾅 얻어맞은 것 같았고 눈물이 나올 것 같았다. 왜 우리나라 아이들에게는 이런 글이 나오지 않을까. 이 시는 아주 짧지만 나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주었단다.”

저자는 청소년들과 함께하고 싶어서 이 책 《열일곱 살이라고 시를 모르지 않아요》을 썼지만, 읽다 보면 왜 우리 삶에 소설이, 시가 필요한지 알고 싶은 모든 이에게 필요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말한다.

“우리가 문학을 하고,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하는 행위 혹은 그것을 감상하는 것은 자신을 정화하고 타인의 영혼을 고양시키기 위해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