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의 다섯 번째 행성 목성과 여섯 번째 행성 토성이 약 400년 만에 가장 가깝게 만나는 우주쇼가 펼쳐졌다. 국립과천과학관(관장 이정모)은 21일 오후 5시부터 6시 30분까지 목성과 토성 대근접 실시간 관측 영상을 국립과천과학관 유튜브 채널로 중계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21일 오후 5시부터 6시30분까지 목성과 토성이 400여 년 만에 가장 가깝게 만나는 대근접 우주쇼를 유튜브 채널로 실시간 중계했다. [사진=유튜브 영상 갈무리]](https://cdn.ikoreanspirit.com/news/photo/202012/61401_80061_438.jpg)
목성과 토성의 대근접은 1623년 7월 17일 이후 최대로 가까워진 것으로, 앞으로 대근접은 2080년 3월 15일이 된다. 따라 우리가 대근접을 볼 기회는 처음이자 마지막인 셈이다.
1623년 당시 목성과 토성의 대근접은 태양과 너무 가까워 지구의 대부분 지역에서 관측이 불가능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 이전 관측 가능한 대근접은 1226년 3월 5일이었다.
남서쪽 하늘이 트인 곳에서는 별도의 장비 없이 맨 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데, 목성과 토성이 거의 겹쳐 있어 분간이 어렵기도 하다. 쌍안경 정도면 목성과 토성을 구별할 수 있고, 일반적인 천체망원경으로는 목성과 4대 위성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토스, 토성과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도 관측 가능하다.
![(위) 올해 이전 목성과 토성의 대근접이 있었던 1623년, 광해군 15년 상황극을 통해 이해를 도왔다. (아래) 국립과천과학관 두 전문가가 해설을 통해 대근접의 의미를 쉽게 설명했다. [사진=유튜브 영상 갈무리]](https://cdn.ikoreanspirit.com/news/photo/202012/61401_80062_640.jpg)
대근접 온라인 생중계는 조제일, 박대영 두 전문가가 두 행성이 태양과 일렬로 정렬하는 회합주기와 목성과 토성의 특징 등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기록에 남은 목성과 토성의 근접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또한 1623년 우리나라에서는 광해군 15년 당시 목성과 토성이 가장 가까웠던 때를 배경으로 한 상황극을 통해 당시 우주변화에 대한 선조들의 인식과 인조반정 등 나라의 큰 변화 등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