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곳곳에 흩어져 보관된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을 수집 및 정리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연구자와 국민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 정리와 연구 사업을 위한 방안 모색과 토론의 장이 열린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3일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기록 공동 연구 및 활용방안'을 주제로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사진=국가기록원 누리집 갈무리]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3일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기록 공동 연구 및 활용방안'을 주제로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사진=국가기록원 누리집 갈무리]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3일 오후 2시 동북아역사재단(서울시 서대문구 미근동)에서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기록 공동 연구 및 활용 방안’을 주제로 정책포럼을 개최하고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서비스 방안을 논의한다. 이 자리에는 국사편찬위원회와 동북아역사재단, 국가기록원 등 역사기록기관 관계자, 역사학계, 기록관리 학‧협회와 연구자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날 국가기록원 노영종 학예연구관은 ‘강제동원 기록 보유현황 및 DB구축‧활용방안’, 동북아역사재단 남상구 소장은 ‘강제동원 기록 연구 및 서비스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김민영 군산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국사편찬위원회 류준범 실장, 부평문화원 허광무 연구위원, 성균관대학교 한혜인 연구원 등이 참석해 종합토론을 벌인다.

국가기록원 강제동원자 명부 자료에 의하면, 일제는 1938년 ‘국가총동원법’을 제정해 국가총동원체제로 개편하고, 1939년부터 1945년까지 ‘강제모집’, ‘관 주도’, 징용, 근로보국대, 근로정신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선인을 강제동원하였다.

2004년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회 청원자료에 의하면, 조선 국내지역은 물론 일본, 중국, 러시아, 남양군도(현 미크로네시아) 등에 총 7,879,708명(국내 6,126,180명, 국외 1,390,063명, 군인·군속 363,465명)이 동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