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3월 22일(금) 대구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하여 로봇산업 산·학·연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로봇산업을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로봇산업 육성전략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정책과제를 중점 추진하여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을 달성하겠다는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을 확대 보급한다. 정부는 뿌리, 섬유, 식·음료 등을 중심으로 제조로봇 7,560대를 선도 보급하고, 이를 계기로 민간이 자율적으로 큰 부담 없이 로봇을 활용할 수 있도록 렌탈, 리스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제조로봇 활용도에서 세계 1위이나, 제조로봇 산업은 전자전기, 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우리나라 제조업 종사자 1만 명당 로봇활용대수(로봇밀도)는 710대(세계평균 85대)이다. 업종별 로봇 보급대수는 전자전기업종이 141,691대, 자동차 업종이 87,417대이나, 뿌리산업 4,112대, 섬유산업 2,504대이다. 정부는 108개 표준모델을 개발하여, 1,080개 사 2,160명을 교육하여, 1080개 사에 7,560대를 보급하여 보급·확산 대수(누적) 2018년 32만대에서 2023년 70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4대 서비스로봇 분야 보급사업. [자료=산업통상자원부]
4대 서비스로봇 분야 보급사업. [자료=산업통상자원부]

4대 서비스로봇 분야도 집중 육성한다. 정부는 수익성과 성장성을 고려하여 돌봄, 의료, 물류, 웨어러블 등 유망 서비스로봇 분야를 적극 육성하기로 하였다. 2020년부터 총 3천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여 4대 서비스로봇 분야 기술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사람을 위한 로봇산업”이라는 방침 아래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로봇을 집중 보급하여 포용국가 실현을 앞당길 방침이다. 이에 따라, 돌봄로봇을 10개 지자체와 협력하여 중증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5,000대를 보급하는 등 4대 서비스로봇 총 1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비스로봇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발굴, 개선하기 위해 금년 상반기 중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내에 “로봇 규제 샌드박스 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한다.

정부는 로봇산업을 떠받치는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로봇제조사와 수요기업을 연결하는 로봇 분야 시스템통합 전문기업(SI)을 육성하기로 하였으며, 미국, 일본 등에 의존하고 있는 로봇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의 자립화도 추진하기로 하였다.

2020년부터 7년간 약 1천억원을 투자하여 차세대로봇에 필요한 지능형 제어기 등 3대 핵심부품과 영상정보 처리 등 4대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해 나가기로 하였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산업간, 기술간 융합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차, 공장기계, AI 등 인접 분야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로봇 융합 얼라이언스”를 운영한다.

정부는 이 3대 정책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여 2023년까지 스타 로봇기업(연매출 1,000억 원 이상 로봇전문기업) 20개를 육성하고 로봇 산업을 15조원 규모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인공지능, 5G통신 같은 새로운 기술이 로봇에 접목되면서 로봇이 더욱 지능화 되고, 제조업 현장은 물론 우리의 일상생활 곳곳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번 발전방안을 통해 “제조로봇 시장을 확대하고, 뿌리, 섬유, 식·음료 등 수요산업의 구조를 고도화하고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서비스로봇 산업도 경쟁력을 강화하여 로봇산업 4대 강국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