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백제 유적인 몽촌토성(서울 송파구)의 옛 모습은 북문지 안쪽에 ‘회전교차로인 로터리’를 중심으로 남과 북, 동과 서, 성벽을 따라 돌 수 있는 회곽도가 나뉘어 갈라져 나가는 ‘격자모양’의 도로망이 펼쳐져 있었다. 사람과 물류의 빈번한 왕래가 있던 폭 10m의 포장도로와 회전교차로 안쪽에 사방 14m의 대형 집수지(물을 모으는 곳) 등이 설치되어 있어, 백제 왕도의 체계적 도시계획을 보여준다.

한성백제 유적인 몽촌토성 북문지에서 발굴된 대규모 백제도로 유적. 위쪽 1/3지점 회전교차로를 중심으로 한 노면 폭 10m의 포장도로가 갈라져 나온 격자모양 도로망. [사진=서울시]
한성백제 유적인 몽촌토성 북문지에서 발굴된 대규모 백제도로 유적. 위쪽 1/3지점 회전교차로를 중심으로 한 노면 폭 10m의 포장도로가 갈라져 나온 격자모양 도로망. [사진=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관장 이인숙)은 지난 14일 오전 10시 30분 ‘2018년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 조사 학술자문회의’를 열고, 몽촌토성 발굴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2013년부터 발굴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에 확인된 백제의 중심도로는 지금까지 확인된 도로 중 최대 규모이며, 자갈과 점토, 풍화암반토를 혼합해 25~50cm높이로 단단히 다진 포장도로로, 백제 도로의 조성과정과 토목기술을 잘 나타낸 유물로 평가된다.

고구려가 한성을 함락한 후 몽촌토성을 거점으로 일정기간 주둔했다는 것을 알수 있는 구체적인 고고자료도 확인되어 주목받고 있다. 원통형 삼족기와 호, 시루 등 다수의 고구려 토기가 출토되었고 백제 도로를 증‧개축해 사용한 고구려 도로와 백제 생활유구면 위에 20~40cm 성토대지를 조성하여 세운 건물지와 수혈(구덩이)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시계방향으로) 몽촌토성에서 발굴된 얼굴모양이 새겨진 백제토기 뚜껑손잡이, 관(官)자가 새겨진 백제토기 조각,  일본 열도 스에키접시조각과 창녕양식 가야토기와 고구려 양이부호(항아리), 목기와 목봉 등. [사진=서울시]
(시계방향으로) 몽촌토성에서 발굴된 얼굴모양이 새겨진 백제토기 뚜껑손잡이, 관(官)자가 새겨진 백제토기 조각, 일본 열도 스에키접시조각과 창녕양식 가야토기와 고구려 양이부호(항아리), 목기와 목봉 등. [사진=서울시]

또한 ‘백제인의 얼굴’이 새겨진 백제토기 뚜껑꼭지를 비롯해 사슴뿔로 만든 골각기, 나무방망이 등 한성백제의 생활유물도 다수 발굴되었고, 한성백제의 활발한 교역활동을 보여주는 유물도 함께 출토되었다. 창녕양식의 가야토기 대부발(굽다리바리), 고구려 항아리, 왜의 스에키 접시조각, 중국 육조시대 청자와 시유도기 조각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