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30일 ‘2018 지역특화 스포츠관광산업 육성사업’대상지로 경북 의성군(컬링), 경남 밀양시(요가), 부산광역시 기장군(야구), 충북 보은군(육상) 등 지자체 4곳을 새로 선정했다.

경북 의성군 컬링 관람 프로그램.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경북 의성군 컬링 관람 프로그램.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이하 국민체육진흥공단)과 함께 추진한 ‘지역특화 스포츠관광산업 육성’사업은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지역 고유의 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유도한다는 목적으로 되었다.

문체부는 2014년부터 관련 사업을 추진해 현재까지 전주시, 삼척시, 예천군 등 총 13개 지자체가 스포츠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경제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다. 2017년에는 5개 지자체 프로그램으로 1만 5천 명이 넘는 관광객이 방문하고 신규 일자리 432개가 생겨 총 20억 6천만 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되었다.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산악 자연환경과 아웃도어 스포츠를 결합한 충북 제천군 힐링레포츠 투어, 드론과 축구를 결합한 전주시 드론축구사업, 강원도 고성군의 해양환경과 자전거 경주를 연계한 고성 바이크 어드벤처사업 등이 있다.

이번에 지역특화 스포츠관광산업 육성사업 지자체로 선정된 의성군은 국내 최초로 건립한 컬링경기장을 증축해 더욱 확충된 기반시설을 활용하여 의상테마파크를 운영한다. 선정됨에 따라 향후 컬링 전문 인력 육성, 컬링관광 기반시설 구축, 컬링테마여행 개발, 컬링행사 개최 등을 통해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다.

경남 밀양 아리랑 아트센터에서 열린 '2017년 밀양 국제요가테라피 컨퍼런스'에서 해외 요가 저명인사를 초청해 체험하는 참가자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경남 밀양 아리랑 아트센터에서 열린 '2017년 밀양 국제요가테라피 컨퍼런스'에서 해외 요가 저명인사를 초청해 체험하는 참가자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16년 유엔 세계 요가의 날’, ‘2017년 밀양 국제요가테라피 콘퍼런스’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는 밀양시는 주한 인도대사관과 (사)한국요가연합회, 인도 비베카난다요가대학 등 전문기관과 협력해 관광산업의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계획이다.

2019년 ‘한국 야구 명예의 전당 건립’을 추진 중인 기장군은 ‘야구 테마 스포츠관광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진행해 야구도시 기장의 이미지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미 보유한 ‘기장 현대차드림볼파크’, 리틀야구장과 소프트볼구장인 ‘월드컵빌리지’ 등을 활용해 야구와 관련하여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며 관광객이 기장군에 체류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 운영함으로써 관광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일대에 조성된 기장 현대차 드림볼 파크. 5만 9천여 평 부지위에 건설된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일대에 조성된 기장 현대차 드림볼 파크. 5만 9천여 평 부지위에 건설된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또한 보은군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비포장 10km 마라톤 코스인 말티재 꼬부랑길, 350명 규모의 ‘숲체험휴양마을’ 등을 활용해 육상도시를 준비하고 있다. 초중고교 엘리트 및 생활체육 육상대회, 전지훈련, 육상을 테마로 한 육상올림픽, 미션러닝. 재활프로그램 클리닉 등을 운영해 전국의 육상 꿈나무와 생활체육인, 엘리트 선수들을 위한 명소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충북 보은군에 위치한 비포장 10km 마라톤 코스인 속리산 말티재 꼬부랑길에서 2017년 7월 열린 제1회 속리산 단풍마라톤 대회 시범 레이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충북 보은군에 위치한 비포장 10km 마라톤 코스인 속리산 말티재 꼬부랑길에서 2017년 7월 열린 제1회 속리산 단풍마라톤 대회 시범 레이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문체부 체육국 스포츠산업과 구형환 사무관은 “기존의 관광자원과 스포츠를 결합한 사업계획을 지자체 10곳에서 제출했고, 선정위원회에서 현장검증, 사업계획 발표 평가 등을 통해 4곳이 선정되었다.”며 “선정된 사업에는 3년간 국비와 지방비를 1:1 비율로 지원한다. 국비로 매년 5억, 총 15억을 지원하고 지자체에서 동일하게 부담함으로써 향후 3년간 최대 30억이 지원 될 것”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