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상자료원(원장 김홍준, 이하 ‘영상자료원’)은 유현목 감독의 유실작 <임꺽정>을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이하 ‘의회도서관’)에서 발굴해 복원을 완료하였다. 한국 영화의 대표 걸작으로 꼽히는 <오발탄>(1961)과 같은 해 제작된 <임꺽정>은 1962년 장기 상영 2위를 기록할 만큼 당대 흥행작이자 유현목 감독의 드문 액션 오락 활극이다.

영상자료원은 2022년 의회도서관에서 이 작품의 유일본 35mm 필름을 발굴했으며, 이후 의회도서관과의 협업을 통해 4K 화질로 디지털 복원하였다.

영화 '임꺽정' 스틸. 이미지 한국영상자료원
영화 '임꺽정' 스틸. 이미지 한국영상자료원

 2021년 북미 조사를 통해 영상자료원은 의회도서관에 소장된 1,800여 건에 달하는 한국 관련 영상자료 목록을 정리했고, 이 가운데 주요 작품들을 선별해 2022~23년 두 차례 현지에서 열람해 국내에 미보유된 주요 극영화 및 비극영화들을 찾아냈다. 이에 영상자료원은 <임꺽정>뿐 아니라 유실작인 심우섭 감독의 <예산시악시>(1971)와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전후 주요 기록 영상 22편을 발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임꺽정>의 필름은 미국 버지니아주 컬페퍼(Culpeper)에 있는 의회도서관 산하 패커드 영상음향보존센터(Packard Campus for Audio-Visual Conservation)에서 발견됐다. 이번에 발굴된 필름은 1970년대 초까지 미국 내 상영을 위해 제작된 35mm 상영용 프린트로, 영화진흥공사 LA 사무소가 수집해 의회도서관에 기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현목 감독의 <임꺽정>은 1962년 장기 상영 2위를 기록하고 약 10만 관객을 동원할 만큼 흥행에 성공했으며, 필리핀 등지에 활발히 수출되기도 한 당대 최고 화제작이었다. 그러나 이후 필름이 유실되면서 작품의 실체는 오랫동안 확인할 수 없었다. 무엇보다 한국 영화사 최고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히는 <오발탄>(1961)과 같은 해 제작된 이 작품은 유현목 감독의 드문 액션 활극 오락 영화로 다양한 장르를 시도한 감독의 초기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다.

홍명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임꺽정>에는 임꺽정 역의 신영균을 비롯해 의적 박노식, 엄앵란, 허장강, 최무룡, 문정숙 등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등장해 보는 재미를 더한다. 특히 사회 비판적 리얼리즘으로 잘 알려진 유현목 감독의 기존 작품들과는 다른 결을 보여주는 이 영화는, 오락성과 액션성이 두드러지는 이례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2025년은 유현목 감독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로, 유실된 채 실체조차 확인되지 않았던 <임꺽정>의 복원과 공개는 감독의 영화세계를 새롭게 조명하고, 한국 고전영화 아카이빙의 중요성을 환기하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이다.

복원된 <임꺽정>은 유현목 감독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열리는 ‘유현목 탄생 100주년전: 시대, 장르, 실천’을 통해 6월 26일부터 상암동 시네마테크KOFA에서 일반 관객에게 최초로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