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분청사기ㆍ백자실’ [사진 김경아 기자]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분청사기ㆍ백자실’ [사진 김경아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은 3층의 상설전시관에서 조선의 도자기 500여 년의 흐름을 보여주는 '분청사기ㆍ백자실’을 보여주고 있다. 

분청사기ㆍ백자실’은 《분청사기 구름 용무늬 항아리》(국보 제259호)와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7호) 등 국보 6점과 보물 5점 등 400여 점을 전시하여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도자기인 분청사기와 백자가 시작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보물 제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모기무늬 매병, 조선 15세기 전반 [사진 김경아 기자]
​보물 제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모기무늬 매병, 조선 15세기 전반 [사진 김경아 기자]

분청사기(粉靑沙器)는 회청색 흙으로 만든 그릇에 백토를 입힌 뒤 여러 기법으로 장식한 도자기로 고려 말 상감청자에서 유래하여 16세기 전반까지 제작되었다. 백자(白磁)는 1,300도가 넘는 고온에서 구워낸 최고급 도자로 조선 백자는 절제미와 우아한 품격을 지닌다. 조선 15세기~16세기 중엽까지 분청사기와 백자가 함께 사용되었으나 1467년(세조 13) 무렵 국영 도자기 제작소인 관요(官窯) 체제가 확립되면서 백자가 조선에서 최고의 자기가 되었다.

고려말 상감청자에서 유래하여 16세기 전반까지 제작된 분청사기 [사진 김경아 기자]
고려말 상감청자에서 유래하여 16세기 전반까지 제작된 분청사기 [사진 김경아 기자]
분청사기 조화 모란무늬 편병, 분청사기 조화 풀꽃무늬 편병, 조선 15세기 후반  [사진 김경아 기자]
분청사기 조화 모란무늬 편병, 분청사기 조화 풀꽃무늬 편병, 조선 15세기 후반  [사진 김경아 기자]

또한, '사기장의 공방' 공간을 통해 흙을 물로 빚어 불로 완성되는 도자기의 제작 과정을 보여주며 조선시대 도자기 장인의 삶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는 투박하게 빚어진 사발 200여 점을 전시하여 이름 없는 조선 사기장들의 손맛을 느끼게 하고, 불에 일그러진 백자 조각과 도자기 제작 도구를 보여주어 도자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전달한다. 

사기장의 공방 [사진 김경아 기자]
사기장의 공방 [사진 김경아 기자]

전시는 제1부 ‘조선의 건국과 새로운 도자 문화’, 제2부 ‘관요 설치 이후 조선 도자기’, 제3부‘백자로 꽃피운 도자 문화’, 제4부‘조선 백자의 대중화와 마지막 여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절제미와 우아한 아름다움을 지닌 조선 백자 [사진 김경아 기자]
절제미와 우아한 아름다움을 지닌 조선 백자 [사진 김경아 기자]
국보 제175호,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대접, 조선 15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국보 제175호,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대접, 조선 15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조선 17세기 후반 [사진 김경아 기자]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조선 17세기 후반 [사진 김경아 기자]
백자 철화 국화무늬 편병, 백자 철화 대나무무늬 편병, 조선 17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백자 철화 국화무늬 편병, 백자 철화 대나무무늬 편병, 조선 17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백자 청화 소상팔경무늬 접시, 조선 18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백자 청화 소상팔경무늬 접시, 조선 18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국보 제93호, 백자 철화 포도ㆍ원숭이무늬 항아리, 조선 18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국보 제93호, 백자 철화 포도ㆍ원숭이무늬 항아리, 조선 18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백자 항아리, 조선 15-16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백자 항아리, 조선 15-16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백자 청화 물고기ㆍ파도무늬 병, 조선 19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백자 청화 물고기ㆍ파도무늬 병, 조선 19세기 [사진 김경아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은 월ㆍ화ㆍ목ㆍ금ㆍ일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수ㆍ토요일은 밤 9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상설전시관은 무료로 운영하며 설날 당일(22일)은 휴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