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암 산림청장은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금강소나무 군락지 보호를 위해 헬기를 집중 투입할 계획"이며, "어제(6일) 진화하려던 화두를 오늘(7일) 제압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최병암 산림청장이 3월 7일 오전 경북 울진군 죽변면 산불현장지휘본부에서 산불상황 및 진화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https://cdn.ikoreanspirit.com/news/photo/202203/66877_90422_3241.jpg)
최 청장은 3월 7일 오전 경북 울진군 죽변면 산불현장지휘본부에서 산불상황 및 진화 계획을 설명하며 이 같이 밝혔다. 또한 "지역 민가 보호 조치를 추가로 진행해 안전하게 산불을 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동해안 산불은 4곳에서 일어나 3월 4일 경북 울진군 북면, 강원 영월군 김삿갓면에서 발생한 데 이어 5일에는 강원 강릉시 옥계면, 강원 강릉시 성산면에서도 발생했다.
산림청 중앙산불방지 대책본부는 강풍주의보가 해제되고 바람이 잦아든 3월 7일이 산불진화에 최적의 기회라고 밝혔다. 이에 산불진화헬기 89대와 산불진화대원 9,115명을 투입해 산불진화에 나섰다.
![산불로 강릉 지역에 연기가 가득해 산림당국이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https://cdn.ikoreanspirit.com/news/photo/202203/66877_90423_3459.png)
산림당국은 7일 중으로 동해안지역 산불의 주불 진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 진화구역설정 및 진화자원 배치 ▲ 산불진화헬기·진화장비 정비 ▲ 주요지역에 이동식 담수조 설치 ▲ 산불지연제(리타던트) 완비 ▲ 민가 및 주요시설보호 ▲ 산불진화대원 배치를 완료했다.
하지만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동해안(강릉·동해·울진·삼척) 산불이 심한 연기와 안개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산림당국은 강릉과 울진 산불현장의 산불연기와 안개로 인해 진화헬기 접근이 어렵고, 오후가 되자 바람 방향이 남서풍으로 바뀌면서 울진·삼척산불의 연기가 강릉비행장까지 확산하여 연료보급 후 이륙할 항공기의 시계가 불량해 12시 50분부터 이륙을 못하다 연무가 다소 사라진 14시 20분 경에 산불진화헬기가 다시 투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기가 자욱한 울진 산불 현장. [사진=산림청 제공]](https://cdn.ikoreanspirit.com/news/photo/202203/66877_90424_3548.png)
울진 소광리 산불현장도 연무로 인하여 헬기 운영에 제한을 받았으나 오후부터 시계가 확보돼 금강송 산림유전자원 보호지역을 중점으로 방어선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남태헌 차장은 “강릉·동해산불을 금일 내 주불 진화를 완료할 계획이였지만,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진화율이 높아지지 않고 있다”며 “연기가 걷히는대로 민가와 중요보호시설을 중심으로 진화를 이어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근 4일간 계속되는 산불진화에 헬기 기장과 진화대원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단 한건의 안전사고 없이 신속한 진화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은 3월 6일 18시 기준 이번 산불의 산불영향구역(피해면적)을 16,775ha로 추정했다. 시군별로는 울진 12,039ha, 삼척 656ha, 강릉 1,900ha, 동해 2,100ha, 영월 80ha의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경북 울진군 6,324명, 강원 강릉시 95명, 강원 동해시 580명의 주민이 대피하였으며, 울진·삼척지역 407개소, 강릉·동해 97개소의 시설물이 피해를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