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호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東 三層石塔)’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21호로 지정했다. 또한, 전남 구례군에 있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0호 ‘천은사 극락보전(泉隱寺 極樂寶殿)’을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求禮 泉隱寺 極樂寶殿)’이라는 이름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이하 동 삼층석탑)’은 성주사지에 남아있는 4기의 탑 가운데 하나이다. 847년 낭혜화상(800~888, 신라 후기의 승려 무염)이 지은 성주사는 17세기까지 명맥이 이어지다가 조선 후기에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2021호로 지정된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전경. [사진=문화재청]
보물 제2021호로 지정된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전경. [사진=문화재청]

현재 보령 성주사지(사적 제307호)에는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국보 제8호)와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제19호),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보물 제20호, 이하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보물 제47호, 이하 서 삼층석탑) 등 1기의 탑비와 3기의 석탑이 이미 국보와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번에 지정된 동 삼층석탑은 금당 뒤쪽에 있는 다른 2기의 석탑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국내에는 가람이 이렇게 배치된 예가 없다. 따라서 금당 전면에 오층석탑 1기를 조성하여 1탑 1금당 형식의 가람배치를 조성한 이후 석탑 3기를 다른 곳에서 옮겨와 뒤쪽에 추가로 배치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 삼층석탑은 조성 양식으로 보아 다른 2기의 삼층석탑과 함께 통일신라 말기에 같은 장인이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총 높이는 4.1m로 2층 기단위에 3개의 층으로 구성되었으며, 1층 탑신 전‧후면에 문고리와 자물쇠가 표현된 문비(문짝 모양)가 조각된 점 등으로 볼 때 전형적인 통일신라 후기 석탑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한편,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은 지리산 남서쪽 자락에 있는 사찰인 천은사의 주불전이다. 1774년(영조 50년) 혜암선사가 중창하면서 세워졌으며, 중생들의 왕생극락을 인도하는 아미타불을 주불로 하여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다포계(多包系) 팔작지붕 건물이다.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사진=문화재청]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사진=문화재청]

극락보전의 특징은 내부에 높게 세운 기둥인 고주(高柱)의 윗부분에서 대량(大樑)과 툇보를 일체화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 가구(架構) 구성이 눈에 띈다. 전체 규모는 크지 않으면서 내부 고주를 뒤쪽으로 좀 더 옮기고 양옆에 보조기둥을 한 개씩 세워 넓은 불단과 후불벽(불단 뒤쪽의 벽)을 구성하여 예불공간이 더욱 돋보이고 위엄을 갖추도록 구성하였다. 내부 단청은 안료분석 결과 19세기 이전의 천연안료가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로, 벽화·단청 채화기법이 뛰어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조선 후기의 단청 전통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주변 시설 등을 적극 정비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천은사 극락보전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