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4월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환경부와 포장재 사용 생산업체 19곳이 재활용이 쉬운 포장재 사용에 관한 자발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 참여 업체는 광동제약, 남양유업, 농심, 대상, 동아제약,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매일유업, 빙그레, 서울우유, 아모레퍼시픽, 애경산업, 오비맥주,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코카콜라음료, 하이트진로, 해태에이치티비, CJ제일제당, LG생활건강 등이며, 이들 업체는 재활용 의무 사용자에 속한 기업으로 2016년 기준 페트병 출고량 26만 톤 중에서 55%를 생산했다.

앞으로 이들 업체는 자율적으로 2019년까지 생수, 음료 등의 페트병을 무색만 사용하도록 개선하기로 했다. 다만 맥주와 같이 제품의 품질 보장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갈색, 녹색을 사용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이 이행될 경우, 음료와 생수병의 무색 페트병 사용 비율은 2016년 63.5%에서 2019년에는 85.1%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유색 페트병의 생산을 금지하는 일본의 경우를 고려할 때 재활용비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사용이 제한되는 제품 예시. [자료=환경부]
사용이 제한되는 제품 예시. [자료=환경부]

그리고 재활용 비용을 증가시키는 종이라벨을 사용하거나 몸체에 직접 인쇄하는 것도 제한되며, 2020년까지 재활용이 어려운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재질은 재활용이 쉬운 페트병(PET) 등으로 대체된다. 또한, 페트병 이외의 용기류를 생산할 때 뚜껑과 몸체를 같은 재질로 변경한다.

사용이 제한되는 제품 예시.[사진=환경부]
사용이 제한되는 제품 예시.[사진=환경부]

환경부는 이번 참여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재활용이 쉬운 재질과 구조로 개선사항을 발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며, 이번 자발적 협약이 생산단계에서부터 재활용이 쉽도록 제품이 설계되어 재활용 산업이 활성화되고 자원순환 사회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구시민운동연합 김진숙 사무처장은 “서울시의 페트병 사용 자제 실천에 이어, 환경부와 생산업체 간의 이번 협약이 환경문제에 기업들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을 독려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