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기억연극전 포스터. 이미지 창작19다
제4회 기억연극전 포스터. 이미지 창작19다

“연극이 무엇을 기억해야 할까? 당신의 기억 우리의 연극이 됩니다.”

오는 9월에 찾아오는 ‘제4회 기억연극전’(주최·주관 창작19다, 총괄PD 강현욱, 기획PD 선명주)의 주제다.

2022년 시작하여 매년 극장 봄에서 기억을 전하는 ‘기억연극전’은 올해 이 주제로 ‘기억연극전’의 의의를 다시 한번 다잡으며 나아간다. 창작19다가 주최ㆍ주관하며 총괄PD 강현욱, 기획PD 선명주가 함께한다. 

이 연극전은 기억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창작자가 각자 조사와 탐색을 하여 새롭게 구성한 무대를 선보인다. 단순히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들을 연극이라는 언어로 다시 말한다.

2025 ‘제4회 기억연극전’에는 극단 뱃속의나비, 창작19다, 극단 인, 올로아프로젝트×침산일공이 참여하여 각각 9월 한달간 한주씩 극장 봄(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1가 43)에서 공연한다.

극단 뱃속의나비는 9월 1주차(9. 5 ~ 7)에 신체극 <노바디 다이NOBODY DIED>를 선보인다. <노바디 다이>는 작가의 진실 고백과 배우의 연기를 통해 폭력 없는 폭력, 우리가 외면하는 감정을 조명한다. 아무도 죽지 않았지만, 그 속에 잠긴 감정은 결코 가볍지 않다. 현실과 허구, 피해자와 가해자, 작가와 배우, 인간과 애벌레-그 모든 경계가 희미해지는 혼란스러운 이곳, 하지만 진실만이 남았으니 작가는 통쾌할 뿐이다.

이 작품은 작·연출은 양정인이 맡고 예술감독 선명주, 무대감독 이용헌, 의상·소품 이소연이 참여해 완성도를 높였다. 출연배우 고보민, 손지인, 이태율, 조은재, 최하영이 작가의 창작에 대한 생각들을 신체극으로 풀어낸다.

창작19다는 9월 2주차(9. 10 ~ 14)에 연극 <영혼의 병사들>(작 응우옌 꽝 빈, 연출 강현욱, 기획 이예진, 선수림)을 선보인다. 이 작품은 베트남 전쟁 역사를 담은 작품이다. 출연 배채윤, 이현균, 임진택.

9월 3주차(9. 17~ 21)에는 극단 인이 사건 속의 사람들을 다룬 연극 <위치>(작·연출 이주현)을 발표한다. 처음으로 담임을 맡게 된 해인은 설렘과 열정으로 가득 차 있었다. 친구 같은 선생님이 되어 아이들과 함께 웃고, 울고 성장해 가길 꿈꿨다. 그러나 그 따뜻한 꿈은 오래가지 못했다.

제작진으로 협력 서재경, 기획 박중신, 유진희, 문연순, 오퍼 신우진, 포스터디자인 유예린이 참여한다. 출연 서재경, 곽승일, 이우준, 이용규, 신기환, 목소리출연 서이주.

올로아프로젝트x침산일공은 9월 4주차(9. 25 ~ 28)에 뮤지컬 ‘움과 울을 넘어’(작·연출 이현경, 작곡과 음악감독 정예진)을 발표한다. 제작진으로 무대 디자인 남경민, 조명 선명주, 음향 강현욱이 함께했다. 출연 박용기, 이 솔, 홍수현.

연극전의 예매는 플레이티켓에서만 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공연을 관람하면 혜택이 있는 “재관람 할인”, 서울연극협회원, 예술인패스 소유자에게는 최대 50%, 장애복지카드 소유자, 국가유공자카드 소유자에게는 최대 60%까지 할인되는 복지할인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