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극 50주년 기념 포럼 – 마당극 50년 오늘과 내일’ 포스터. 이미지 광명문화재단
‘마당극 50주년 기념 포럼 – 마당극 50년 오늘과 내일’ 포스터. 이미지 광명문화재단

 

마당극 50주년을 맞아 한국민족극협회(이사장 손재오)와 광명문화재단(대표이사 어연선)은 8월 16일 오후 2시부터 경기도 광명시 광명시민회관 리허설룸에서 ‘마당극 50주년 기념 포럼 – 마당극 50년 오늘과 내일’을 개최한다.

1973년 ‘진오귀굿’(김지하 작, 임진택 연출), 1974년 국립극장 소극장 무대에 오른 ‘소리굿 아구’(이종구, 김민기, 김지하 공동창작) 이후 마당극 운동이 본격화된다. 이번 포럼은 마당극 50주년을 맞이하여 마당극 운동의 현재를 점검하고 내일의 전망을 모색하는 특별한 자리이다.

8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열리는 광명마당극축제х제34회 대한민국 마당극축제 기간 중에 개최하는 이 포럼은 총 4부로 진행한다.

제1부 대담 ‘마당극의 장면들’에서는 마당극의 출발부터 50년간 마당극 운동의 현장에 있었던 민족미학연구소 채희완 소장, 창작판소리 명창 임진택의 대담으로 운동사적 논의에서 한 걸음 떨어져서 각자가 선택한 마당극 작품들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다. 장소익 나무닭움직임연구소 대표가 진행을 맡는다.

제2부 ‘마당극운동의 쟁점들’은 마당극 운동 50년을 시기별 주제별로 다룬 비평을 통해 마당극 운동의 쟁점을 점검한다. 박상은, 김소연, 조훈성 등 다양한 세대의 연구자, 비평가의 시선 차이도 살펴볼 수 있다.

배선애 연극평론가 겸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사회로 박상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이 “1970~80년대 마당극 운동의 역사: 대항적 민족·민중주의와 한국 현대연극/공연사의 확장과 심화”를, 김소연 연극평론가가 “2000년대 마당극운동의 공간과 성취”를, 조훈성 연극평론가 겸 충남시민연구소 연구이사가 “마당극운동 50주년, 새로운 지역연극운동의 모색 - 대전충청지역 마당극을 중심으로”라는 제하에 각각 발제한다.

3부 ‘마당극 운동의 오늘과 내일’에서는 다양한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마당극 운동의 현재를 진단하고 내일을 전망한다. 사회적 참사, 기후위기, 장애예술, 사회적 기억, 지역극장과 지역문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마당극 운동의 활동을 살펴볼 수 있다.

김도일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객원교수(놀이패 신명, 前)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의 사회로 김태현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상임연출이“당사자 연극만들기와 마당극운동의 경험”을, 탁정아 극단 함께사는세상 대표가 “모두를 위한 예술이, 모두에게 닿을 때”를 각각 발제한다. 이어 임은혜 나무닭움직임연구소 작가 겸 기획자가 “가난한 연극의 지속과 연대”를, 남기성 연출가가“이땅의 기억과 함께하는 예술행동‘아이고(I Go) 프로젝트’”를, 성장순 별별마당 우금치 극장장이“마당극패가 극장을 운영한다는 것”라는 제하에 각각 발제한다.

​4부에서는 김소연 연극평론가의 사회로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포럼 및 축제와 관련하여 상세한 내용은 광명문화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