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9월 4일(월)부터 11월 4일(토)까지 '도널드 저드'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사진 타데우스 로팍 서울]
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9월 4일(월)부터 11월 4일(토)까지 '도널드 저드'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사진 타데우스 로팍 서울]

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9월 4일(월)부터 11월 4일(토)까지 '도널드 저드'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에서 열리는 작가의 10년 만의 첫 개인전으로, 저드 재단 예술 감독 플래빈 저드가 기획하였으며 1960년대 초기부터 1990년대 초까지 30년에 걸친 작가의 작품을 선보인다. 

특히 작가의 작업 세계에 초석이 되어준 회화 작품을 3차원 작품과 함께 소개하고, 1991년 한국에 방문하여 개념화시킨 20점의 목판화 세트를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전시하며 그 의의를 더한다.

도널드 저드는 20세기 후반 예술적 지형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가로 3차원 작품의 시각적 언어를 개발하고 예술 오브제를 이해하는 새로운 토대를 제공했다.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 중 가장 초기인 1960년에 제작된 두 회화 작품은 이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며, 이후 제작된 3차원 작업의 근간이 되었다.

Untitled, 무제, 1960, 캔버스에 유화, 102.2 x 91 cm [사진 타데우스 로팍 서울]
Untitled, 무제, 1960, 캔버스에 유화, 102.2 x 91 cm [사진 타데우스 로팍 서울]

저드는 3차원의 작품을 제작하고 캔버스 위에서 작업하며 경험한 회화적 관습에서 탈피하여 빈 공간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벽에 걸리는 작품과 바닥에 놓인 작품에서 각기 다른 공간 탐구 과정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이번 전시에서는 20점의 목판화 한 세트를 공개한다. 목판화 작품은 작가의 판화 작업 전반에 걸쳐 색을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한 작품이다. 작가는 격자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철저한 기하학적 규칙을 통해 색으로 채운 공간과 빈 공간의 반전을 변주하고, 이를 한지 위에 찍어내어 자칫 딱딱하고 엄격해 보일 수 있는 기법을 완화시켰다. 한지는 한국의 바위산에 서식하는 뽕나무 속 껍질로 만들어진 종이로, 저드는 1991년 한국에 방문하여 이를 판화에 접목시켰다.

Untitled, 무제, 1992-1993/2020, 목판화 20개 세트: 한지 위에 카드뮴 레드, 카드뮴 옐로우, 카드뮴 오렌지, 울트라마린 블루, 세룰리안 블루, 코발트 블루, 퍼머넌트 그린, 비리디안 그린, 검은색, 알리자린 크림슨 목판 채색, 각: 60 x 80 cm [사진 김경아 기자]
Untitled, 무제, 1992-1993/2020, 목판화 20개 세트: 한지 위에 카드뮴 레드, 카드뮴 옐로우, 카드뮴 오렌지, 울트라마린 블루, 세룰리안 블루, 코발트 블루, 퍼머넌트 그린, 비리디안 그린, 검은색, 알리자린 크림슨 목판 채색, 각: 60 x 80 cm [사진 김경아 기자]

이번 전시는 작가의 작업 핵심이자 모든 작품에서 발견되는 입체감, 공간감, 실재감을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전시를 기획한 플래빈은 ‘문화의 기호체계는 일시적이고 자의적이다 […] 저드는 견고한 세계, 정원의 흙과 은하계에 관심을 기울였고, 우리를 이 세계로, 우리가 존재하는 곳으로 회귀하는 예술을 선보였다’고 덧붙인 바 있다.

전시는 화요일부터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6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