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 개관 80주년 기념행사 포스터. 이미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80주년 기념행사 포스터. 이미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관장 김희섭)은 개관 80주년을 맞아 오는 10월 15일(수) 도서관 일대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도서관의 80년을 축하하는 기념식과 음악회, 특별전시 등이 열린다.

이날 오후 2시부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리는 기념식은 김희섭 국립중앙도서관장의 기념사를 시작으로 김영수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윤희윤 국가도서관위원회 위원장 등 정부 및 도서관계 인사들이 참석해 축하의 뜻을 전한다.

이어 영국·일본·중국 등 12개국의 해외 국립도서관장과 사서들의 축하 영상 메시지가 상영된다. 이어 도서관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포상과 개관 80주년 기념 슬로건 캘리그라피 공연도 진행된다.

기념식에 앞서 낮 12시부터 1시 30분까지 도서관 잔디광장에서 「도서관 음악회」가 열린다.

이번 음악회에는 클래식·재즈·뮤지컬·국악 등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진 공연이 펼쳐진다. 첼리스트 홍진호, 반도네오니스트 고상지, 피아니스트 최문석, 뮤지컬 배우 윤지인·박유겸, 국악아카펠라 그룹 토리스, 에티카 앙상블 등이 출연한다. 진행은 박혜진 아나운서.

특히 올해는 공연과 함께 미니 토크쇼와 낭독 무대도 진행된다. 관람은 무료이며, 사전 신청은 10월 10일(금)까지 국립중앙도서관 누리집> 교육·문화행사 > 강연·세미나에서 가능하다.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80주년 특별전시 포스터. 이미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80주년 특별전시 포스터. 이미지 국립중앙도서관

10월 15일(수)부터 12월 14일(일)까지 본관 1층 전시실에서는 특별전 《나의 꿈, 우리의 기록, 한국인의 책장》이 열린다.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국보와 주요 작품 초판본을 비롯한 200여 종의 장서를 시대별·주제별 책장을 통해 살펴본다. 조선시대 왕실의 서적부터 해방과 전쟁,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쳐 MZ세대와 한류 팬들의 책장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세대를 아우르는 총 23개의 책장을 통해 한국 독서문화의 변천을 살펴볼 수 있다.

전시 개막일에는 《동의보감》(국보·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석보상절》(보물),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보물)의 원본이 공개된다. 또한 전시기간 동안 《소년》, 《청춘》, 《별건곤》 등 잡지 창간호와 《윤동주 시집》, 《백범일지》 등 근대자료 초판본이 전시된다.

특별히 이번 전시에서는 세계적인 e스포츠팀 T1의 최현준(Doran), 문현준(Oner), 이상혁(Faker), 이민형(Gumayusi), 류민석(Keria) 선수가 직접 꼽은 애독서를 담은 책장을 선보인다. 아울러 T1 팀의 다양한 굿즈도 함께 전시하여, 게임에서 확장되는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의 가능성을 함께 조명한다.

1945년 광복 직후 설립된 국립중앙도서관은 우리나라 지식 문화유산을 수집·보존·제공하는 국가대표도서관으로 약 1,500만 권의 장서와 2,000여만 건의 온라인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2025.9월 기준). 2006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9년 디지털도서관, 2013년 국립세종도서관을 개관하며 기능과 역할을 확장해 왔으며 2028년 ‘국가문헌보존관’을 강원도 평창에 건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대응해 사람과 지식을 연결하는 미래형 플랫폼으로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김희섭 국립중앙도서관장은 “국립중앙도서관의 80년은 단순한 시간의 기록이 아니라, 한 시대의 정신과 국민의 꿈이 담긴 역사”라며, “올해 개관 80주년이 새로운 지식의 길을 여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