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가 뻣뻣하게 굳고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조차 어려워졌다면, 단순한 피로가 아닌 ‘오십견’을 의심해볼 수 있다. 중년 이후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정식 명칭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어깨 관절을 감싸는 관절막에 염증이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조직이 유착돼 움직임 자체가 제한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진행되면 어깨가 마치 얼어붙은 것처럼 움직이지 않게 되어 ‘동결견’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오십견은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특별한 외상이나 수술 없이 자연스럽게 생기는 경우는 1차성, 반면 어깨 골절이나 탈구, 수술 후 후유증처럼 뚜렷한 원인이 있는 경우는 2차성 오십견이다. 과거에는 50대 전후의 중년층에서 주로 발병했지만, 최근에는 장시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 무리한 어깨 사용 등으로 인해 30~40대 환자들도 늘고 있다.

오십견은 초기에는 팔을 머리 위로 들거나 뒤로 돌리는 동작이 불편해지는 것으로 시작된다. 뒷주머니에 손을 넣는 일, 옷의 단추를 채우는 일처럼 일상적인 동작조차 어려워지고, 점차 세수나 머리 감기 같은 기본적인 활동에도 제약이 생긴다. 특히 밤에는 통증이 심해지기 때문에 숙면을 방해받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수면 부족이나 피로가 누적되면서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는 환자들도 적지 않다.

이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만으로 방치하면, 관절의 유착이 더 심해지고 회복에 훨씬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게다가 석회성 건염이나 회전근개파열과 같은 어깨 질환도 유사한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단순한 근육통으로 오인해 자가 판단만으로 넘겨서는 안 된다.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악화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오십견의 치료는 환자의 나이, 증상 정도, 발병 원인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진행된다. 비교적 초기라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수개월 이상의 비수술 치료에도 별다른 차도가 없거나, 통증이 극심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는 경우라면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그중 하나가 바로 ‘브리즈망 치료’다.

브리즈망 치료는 관절수동술의 일종으로, 유착된 어깨 관절막을 직접적으로 이완시키는 방식이다. 신경차단술을 시행한 뒤, 초음파를 통해 관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어깨를 움직여 굳은 부위를 풀어준다. 절개가 필요 없어 흉터나 회복 부담이 없고, 시술 시간도 짧아 환자의 신체적 스트레스가 적다. 시술 직후부터 통증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고, 관절의 가동 범위 역시 빠르게 회복될 수 있어 중등도 이상의 오십견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꼽힌다.

브리즈망 치료는 단순한 통증 완화뿐 아니라, 관절의 운동 범위를 빠르게 개선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시술 이후 곧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 속도가 빠르며, 특히 밤에 통증이 심해 수면장애를 겪는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시술이 끝난 뒤에도 관절이 다시 굳지 않도록 스트레칭과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재발 방지에 매우 중요하다.

글: 안양 다나음통증의학과 이병익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