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군 천년고찰 고운사 전소현장. 사진 국가유산청
경북 의성군 천년고찰 고운사 전소현장. 사진 국가유산청

그 절.

그 승僧.

그 날.

그 밤.

전각 뒤 몸 숨긴 소쩌귀
法 치는 목탁
비비는 손바닥서 떨어지는 업장들
선방 창호지 뚫는 죽비
그믐 날 寅시 하늘 태우는 별똥들
남 몰래  묻고 온 사연들.

그 소리들.
두루 두루 모여드는
칠흑
전각 대청마루 바닥.

선 졸음기 접지한
결과부좌한 등짝들
까맣게 내리치는 
선승
오죽烏竹 소리.
도량석 도는 행자승
'지심귀명례' 에 섞여
산 절 
묵은 때
파르라니 깍아 내던.

그 절.
그 날 들.

이제
그 숱한 인연들 다 끌어안고
소신하네.
인간들이 불 붙여
타오른 산불에 
산과 한 몸 돼
묵묵히
법신공양하네.

300 년 묵은 기와장들
녹청 이끼로 살린
무수한 인연들.
재티로 승천하네.

망忘 
번뇌.

집執도 착着도
업業마저도
뉜지 모르는 불 질에 
무無 되버리네.

피彼도 차此도 아닌
집執도 탈脫도 아닌
그렇다고
간間이 아닌걸
알아가는
즈음.

그 절.
그 날.
그 마음들까지.
잿티로 날려
사그라지며
절명 내지르네.

묘妙.

*아. 고은사가 소천합니다.

            - 윤 명 철

경북 의성 천년고찰 고운사 연수전 화재 현장. 사진 국가유산청
경북 의성 천년고찰 고운사 연수전 화재 현장. 사진 국가유산청

경북 의성과 울산 울주, 경남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이 거센 바람을 타고 꺼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지난 25일 오후 4시 50분 경 경북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자락의 천년고찰 고운사가 화마로 인해 전소되었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1년(681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윤명철 역사학자, 동국대 명예교수, 우즈베키스탄 국립사마르칸트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