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장매성(1911~1993)·박옥련(1914~2004)·박현숙(1914~1981)·장경례(1913~1997) 선생을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네 명의 선생은 1928년에 여성 항일운동단체로 비밀결사인 ‘소녀회’를 결성하였고, 1929년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한 주요 인물들이다.

1928년 11월에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에 다니던 장매성, 박옥련, 장경례 등이 중심이 되어 광주사범학교 뒷산에 올라 여성 항일운동단체인 소녀회를 조직했고, 이듬해인 1929년 5월에는 장매성의 집에서 박현숙 등이 소녀회에 가입했다.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장매성 선생. [사진제공=국가보훈처]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장매성 선생. [사진제공=국가보훈처]

소녀회는 "여성을 남성의 압박에서, 한국인을 일본의 압박에서, 무산대중을 자본계급의 압박으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여성 해방, 민족 해방, 계급 해방을 지향했다.

또한, 독서회 회원들이 만든 연합 단체인 ‘학생소비조합’이 출범할 때 30원을 출자하는 등 남학생들이 주도하는 독서회와 연대 활동도 펼쳤다.

특히, 1929년 11월 3일 광주역 앞에서 한국인과 일본인 학생 간에 충돌로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을 때, 소녀회원들은 "붕대와 도포약을 가지고 뛰어와 부상 학생을 치료하는 한편, 한 손에 두 개의 물 주전자를 들고 다니면서 열광적인 구호에 타는 목을 축여주는 역할"을 수행했다.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박옥련 선생. [사진제공=국가보훈처]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박옥련 선생. [사진제공=국가보훈처]

1929년 12월에 들어 서울에서는 학생 비밀결사조직인 각 학교 독서회 주도로 광주의 학생운동을 지지하는 동맹휴학이 잇달아 일어났다. 동맹휴학과 시위가 계속되자 조선총독부는 12월 13일 조기 방학을 단행했다.

이듬해 1930년 1월 8일 개학과 동시에 2학기 시험을 치르게 된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등에서 학생들은 구속 학생의 석방을 주장하며 시험을 거부하고 백지 답안지를 제출하는  '백지동맹'을 했다.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박현숙 선생. [사진제공=국가보훈처]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박현숙 선생. [사진제공=국가보훈처]

이어서 1월 15일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12명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이 중 11명이 소녀회 사건의 연루자였다.

학교 당국은 강경하게 대응하여, 바로 학교 문을 닫고 백지동맹 관련자들을 무기정학 처분했다. 아울러 소녀회와 백지동맹사건에 관련된 20여 명 학생의 부모를 불러 퇴학을 종용했다. 결국 박현숙은 1930년 1월에, 장매성, 박옥련, 장경례는 1930년 3월에 학교를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소녀회는 일본 경찰이 광주학생운동 관련자들을 취조하는 과정에서 독서회가 드러나면서 함께 발각되었고, 소녀회 관련자 11명은 체포된 지 9개월 만에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재판을 받았다.

재판은 광주지방법원이 생긴 이후 최초의 치안유지법 위반 사건이고, 광주학생운동이 발단이 되어 발견된 비밀결사 사건으로 언론에서도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장경례 선생. [사진제공=국가보훈처]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장경례 선생. [사진제공=국가보훈처]

10월 6일에 열린 1심 공판에서 검사의 구형대로 판사는 장매성에게 징역 2년의 실형을, 그 외 10명의 여학생에게는 징역 1년, 집행유예 5년형을 선고했다. 하지만, 11명 전원 1심의 판결에 불복해 항소를 제기하지는 않았고, 장매성은 1년 2개월 14일의 옥고를 치르고 1932년 1월 22일에 가석방되었다.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던 소녀회 회원들은 광복 이후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의 후신인 전남여자고등학교로부터 명예 졸업장을 받았다.

정부에서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장매성·박옥련·박현숙·장경례 선생에게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수여·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