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맞는 새해는 신축년辛丑年년으로 흰 소띠 해이다. 오랫동안 농경생활을 해온 우리 민족에게 우직하고 순박하며 여유로운 천성의 소는 세시풍속과 설화, 속담 등에 등장하고 시문, 그림, 문학 등의 소재로도 애용되었다.

말없이 통하는 친구처럼 수십 년 간 함께한 소와 노인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워낭소리’는 300만 명에 가까운 관객 수를 기록하며 호평을 받았다. 드라마 ‘식객’에서도 소년과 우정을 나누는 소 ‘꽃순이’가 등장해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안겼다. 고등교육을 담당하는 대학교 중에도 소를 상징으로 하는 대학교가 여럿 있을 정도이다.

영화 '워낭소리' 스틸컷. [사진=지역N문화포털]
영화 '워낭소리' 스틸컷. [사진=지역N문화포털]

우리 민족과 소가 연관된 오랜 기록으로는 1,700~2,000년 전 시대상을 담은 중국의 《삼국지》, 《후한서》에 부여의 관직명으로 우가牛加(부여연맹체를 구성하는 중심세력의 족장)라고 하여 소가 쓰였다고 한다.

부여와 고구려, 예와 한 등 만주에서 한반도에 이르기까지 모두 소를 사육했다. 처음에는 의례에 사용하거나 짐 또는 사람을 싣고 수레를 끌며 식용으로도 이용되다가 삼국시대 후기인 4~6세기에 농사에 널리 활용되었다.

농경사회에서 소는 가족의 일원으로 여겨졌다. 또한 논, 밭과 함께 농가의 가장 중요한 자산으로 손꼽혔다. 근대 들어와 뜨거운 교육열 속에 자녀의 대학 등록금 마련을 위해 소를 파는 일이 많아 대학을 상아탑이 아닌 우골탑牛骨塔이라 비꼬아 부르기도 했다.

경남 밀양의  '우곡'이란 지명은 두 마리 소를 묻은 골짜기라는 유래가 전해진다. [사진=지역N문화 포털]
경남 밀양의 '우곡'이란 지명은 두 마리 소를 묻은 골짜기라는 유래가 전해진다. [사진=지역N문화 포털]

세시풍속으로는 정월 들어 첫 축일丑日을 ‘소 날’이라고 하여 소에게 일을 시키지 않고 쇠죽에 콩을 많이 넣어 잘 먹이거나 정월 대보름에 오곡밥과 나물 등을 먹이고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도 했다.

지역N문화 포털(https://www.nculture.org)에서는 밀양 우곡 등 지명유래, 농사를 짓기 위해 조직된 생산 공동체 ‘소겨리(소짝)’ 등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소와 관련된 지역의 문화콘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