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남 지역에는 비지정 고분군이 623개소가 있다. 이 고분군은 언제, 어느 곳에 조성되었을까.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회장 조상기) 외 3개 기관(경남발전연구원, 동서문물연구원,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과 함께 인천․경남 지역 623개소 비지정 고분군 조사 결과 담아 ‘2018년도 전국 비지정 고분군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2016년부터 시작하여 세 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인천‧경남 지역에 있으면서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비지정 고분군 623개소에 관한 실태조사를 집대성한 결과물이다.

문화재청은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경남발전연구원, 동서문물연구원,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과 함께 인천․경남 지역 623개소 비지정 고분군 조사 결과 담아 ‘2018년도 전국 비지정 고분군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경남발전연구원, 동서문물연구원,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과 함께 인천․경남 지역 623개소 비지정 고분군 조사 결과 담아 ‘2018년도 전국 비지정 고분군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사진=문화재청]

이번 보고서에는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아 그동안 관리의 사각지대에서 방치·훼손의 우려가 있는 각 지역의 비지정 고분군의 자연·지리적 환경과 역사적·학술적 정보, 고분군의 현재 현황에 관한 자료‧사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좌표를 이용한 고분군의 정확한 분포범위 도면 등을 담았다.

우리나라 삼국 시대 고분문화의 변천과 발전뿐만 아니라 가야 각국의 성장과정, 문화발전과 교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열도 사이의 문화교류 등 가야사 복원‧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은 우리 조상의 문화상, 사회상, 정신세계, 토목건축공학 기술 수준 등을 잘 보여주는 중요 문화유산인 고분군의 훼손을 방지‧보존하고자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비지정 고분군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학술조사사업을 진행 중이다.

실태조사 결과는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 누리집(http://gis-heritage.go.kr, 문화재보존관리지도) 내 매장문화재 분포지역을 수정‧보완하여 비지정 고분군의 훼손을 사전에 방지하고, 국민에게도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다만, 보고서 내용은 도굴과 훼손 우려 등으로 인해 외부에 공개하지는 않기로 했다.

문화재청은 올해 울산‧전남 지역에 분포하는 약 670개소의 비지정 고분군 실태를 조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