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부처는 13일 경남도청에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를 개최하고,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 스마트화를 통한 제조업 혁신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으며, 제조업 혁신을 핵심성장 전략으로 채택한 경남에서 진행, 제조업 혁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중기부·산업부·과기부장관, 경남도지사, 중소기업 및 대기업 관계자, 협․단체 대표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부처는 13일 경남도청에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를 개최하고,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출처=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부처는 13일 경남도청에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를 개최하고,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출처=산업통상자원부]

중기부 장관이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산업부 장관이 ‘스마트 산단 선도 프로젝트’를 발표한 후,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이행방안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 참석자들은 제조혁신의 주요 수단이 되고 있는 스마트공장의 도입 효과 등을 공유하면서, 스마트공장 구축과 제조업 혁신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월 8일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발표하고,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구축을 추진중이다. 스마트공장은 제조 데이터 분석·활용이 가능한 지능형 공장으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불량률 감소, 나아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실시간 개별 수요자 맞춤형 생산을 위한 필수 수단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 참석,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를 듣고 있다. [사진출처=산업통상자원부]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 참석,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를 듣고 있다. [사진출처=산업통상자원부]

 

정부는 올해까지 7,800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으며, 그 과정에서 △상생형 모델을 통한 대기업의 참여 활성화 △지방청, TP, 지자체가 협력하는 확산체계 구축 △활발한 현장소통을 통한 정책 개선 △스마트공장 구축기업 성장(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고용증가)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했다.
정부는 가시화되고 있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정책의 성과를 기반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을 넘어 제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기 위해 13일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의 비전은 “스마트 제조혁신으로 중소기업 제조강국을 실현”하는 것이며, 이의 추진방향은 △공장혁신을 통해, 세계 최고 공장경쟁력을 확보 △산단혁신을 통해, 제조혁신 거점을 구축 △일터혁신을 통해, 사람 중심 일터 문화 조성 △혁신기반 조성을 통해, 민간, 지역 중심의 상시혁신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공장혁신 
제조 중소기업의 50%(3만개) 스마트화 달성. ’22년까지 구축목표를 기존 2만개에서 3만개로 확대하고, 대기업을 통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을 강화하며,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을 육성한다. 또 스마트공장 운영인력 양성규모를 22년까지 10만 명으로 확대한다.

■산단혁신

 산업단지를 스마트 제조혁신의 거점으로 육성하고, 스마트산단 선도 프로젝트 추진을 하며,  데이터의 연결‧공유를 통해 기업 생산성과 근로자 삶의 질 향상, 신산업을 창출하는 '스마트산단'조성을 추진하고, 산단 제조혁신과 지역맞춤형 근로자친화 공간 조성을 추진한다. 또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산단 내 휴‧폐업공장 리모델링을 통해 스마트창업센터를 구축하여 저렴한 입주공간과 오픈 랩,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을 추진한다.

■일터혁신
 사람이 중심이 되는 노동환경 조성. 이를 위해 안전한 일터 환경 조성을 통해 산업재해 30% 감소를 목표로 하고, 노동자가 함께 만들고 참여하는 스마트 공장을 유도하며, 지역별 경제계, 노동계, 대학 등이 참여하는 제조혁신 협의체를 구성하고, 성공사례를 발굴·확산하는 ‘제조혁신 운동’을 추진한다.

■혁신기반 : 민간, 지역, 정부가 참여하는 제조업 상시혁신체계 구축한다.  지역에서 스마트공장 구축 및 사후관리를 전담할 ‘제조혁신센터’를 시범 구축하고, 관계부처(중기부·산업부·과기부 등)와 민간이 함께 참여해 정책 통합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제조혁신 추진체계(가칭)’ 구축도 추진한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을 통해 6만6천여개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18조원 매출 증가와 함께 단순 노무인력이 고급 지식인력으로 전환되고, 산재 감소, 근로시간 단축, 유연근무제 확산 등을 통해 청년이 좋아하는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중소기업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불량률은 낮아지며 대기업과 협력 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