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한반도가 아닌 만주, 연해주를 포함한 대고구려의 판도를 잠재적 영토관으로 인식하고 한러공생국을 통한 실리적 통일을 이루어 민족의 번영을 도모해야 합니다.”
장계황 전 동국대 교수(행정학 박사)는 10일 서울시민청에서 열린 사단법인 국학원(원장 권은미)의 제177회 국민강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장 교수는 이날 “한·러 공생 통일론- 정치적 분단을 경제적 통일로”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장 교수는 “영토학에서 말하는 잠재적 영토관이란 ‘전 국민이 잠재적으로 알고 있고, 또 인식하고 있는 영토의 범위’라며 우리 국민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잠재적 영토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참으로 불행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장계황 전 동국대 교수가 10일 국학원 제177회 국민강좌에서 “한·러 공생 통일론- 정치적 분단을 경제적 통일로”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장계황 전 동국대 교수가 10일 국학원 제177회 국민강좌에서 “한·러 공생 통일론- 정치적 분단을 경제적 통일로”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잠재적 영토관이 압록강과 두만강 선으로 고정된 것은 1905년 청나라와 일본이 맺은 간도 협약에 의한 것이다고 장 교수는 말했다. 그는 1917년 우리 역사 현장인 만주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전역과 연해주를 대상으로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 한 대고려국은 우리 영토의 잠재적 영토관에 의거 한반도와 더불어 연해주는 물론 만주벌판까지를 영토로 인정하고 지도를 제작했으며 이 지도의 형태가 봉황의 모습이라고 하여 봉황의 나라라고 했다고 강조했다. 이 시절까지도 우리 국민의 잠재적 영토관은 만주벌판과 연해주를 우리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북방 국경은 어디까지 일까. 장 교수는 1627년 조선과 후금에 맺은 강도회맹에 이한 유조변책선이 우리나라 최초 국경이라고 말했다. 유조변책이란 돌무덤과 버드나무를 심어서 국경선을 만들고 이 지역은 봉금 지대로 양국이 모두 들어가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 국경이 1638년 청의 방압 공사로 동으로 50리 조선 땅으로 이동한 신계(新界)가 생기고 이 국경문제는 아무 변화가 없었는데 1712년 백두산정계비에 의해 조선은 서간도를 잃게 되고, 1860년 아이훈조약과 북경조약에 의해 연해주를 잃고, 일본의 메이지유신으로 대마도를 잃고 간도협약에 의해 간도 땅을 전부 잃어버렸다고 장 교수는 설명했다.

장 교수는 “패전국인 독일이 분할된 것처럼, 일본이 분할되어야 하는데, 승전국인 우리나라가 분할됐다”며 “300여 년간 우리의 의사와 관계없이 우리 영토가 분할되고 축소되는 역사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세계는 국가 이익을 최우선하고 국가 이익 앞에는 우방도 적도 없는 냉혹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북한의 붕괴는 한반도 분단의 영구 고착화될 가능성이 크다. 역사는 반복된다. 우리는 힘이 없어 나를 빼앗긴 역사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외세 의존 통일은 불안전 통일이다. 우리 스스로 통일에 대한 방법론을 강구하고 준비해 나가야 한다. 그 방법의 하나가 '한러공생국'이다"라고 설명했다.

장계황 전 동국대 교수가 10일 국학원 제177회 국민강좌에서  시베리아에 한국과 러시아가 공생국을 운영하는 경제적 개념의 통일론을 제시했다.
장계황 전 동국대 교수가 10일 국학원 제177회 국민강좌에서 시베리아에 한국과 러시아가 공생국을 운영하는 경제적 개념의 통일론을 제시했다.

  공생국에 참여하는 각 국가는 각국 헌법에 의하여 그대로 존재하고 각국은 특별법 제정으로 제3섹터의 공생국 참여를 한다. 각국의 협정 체결을 통한 제3섹터의 공생국을 건설하고 국제법에 따른 합의에 의해 운영 및 관리 체계를 수립한다. 인구 1,900만명이 거주하는 시베리아는 천연자원의 보고이나 러시아의 관리 부재로 방치상태에 있다. 한러공생국은 인접국가인 대한민국과 이 지역에 공생국을 만들어 운영한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영토를 지키며, 공생국을 통한 이익을 배분할 수 있다. 러시아는 그냥 두면 팍스차이나 정책에 의해 극동지역이 중국화가 된다고 우려한다.

한러 공생국론은 2005년 러시아 블라디미르 수린 박사가 주장한 이론으로 “급격한 인구 감소로 국가 생존의 위기에 처한 러시아가 영토를 보존하고 미래에도 살아남으려면 한국과 공생 국가를 이루어 한국민이 시베리아에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수린 박사는 2005년 11월 러시아 유력 정치평론지인 “폴리트크라트”에 “한·러 공생국가론(코리아 선언)”을 발표했다. 그는 “한·러 공생국가가 실현되면 한국은 반도 국가에서 대륙 국가로 거듭나게 되고 시베리아 에너지자원을 확보하게 돼 미래의 경제개발이 가능하고 남북통일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장계황 교수는 한국과 러시아가 간도 땅을 포함한 시베리아를 함께 활용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고 북한을 포함한 경제블록을 형성하여 실질적인 남북한 통일을 이루자고 말했다.
장계황 교수는 한국과 러시아가 간도 땅을 포함한 시베리아를 함께 활용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고 북한을 포함한 경제블록을 형성하여 실질적인 남북한 통일을 이루자고 말했다.


수린 박사는 “러시아는 시베리아를 개발하고 싶어도 인구 부족 등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라면서 우수한 기술과 자본, 질 높은 노동력을 갖춘 한국이 북한 노동력과 러시아 고려인과 함께 시베리아에 진출하면 러시아도 부유해지고 생존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장계황 교수는 한국과 러시아가 간도 땅을 포함한 시베리아를 함께 활용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고 북한을 포함한 경제블록을 형성하여 실질적인 남북한 통일을 이루자고 말했다.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책 《봉황의 나라 대륙을 품다》 한국역사영토재단(도서출판 나루터)에서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