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가을철을 맞아 발생하기 쉬운 쯔쯔가무시증과 인플루엔자, 뇌졸중 등에 대한 예방접종과 예방수칙 준수 등을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은 본격적인 유행에 앞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대상자는 서둘러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또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을철 야외 활동 시 털진드기 물림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세계 뇌졸중의 날(10.29.)을 맞아, 뇌졸중의 발생 및 악화 위험을 예방하고 조기증상 인지와 예방수칙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플루엔자, 본격적인 유행 전에 꼭 예방접종 하세요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작년보다 약 2개월 빠른 지난 10월 17일 발령됨에 따라 본격적인 유행에 앞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대상자는 서둘러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9월 22일부터 25-26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을 6개월 - 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다.
지난 10월 24일 18시 기준 25-26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누적 접종자는 총 633만명이며, 그중 어린이는 138만명, 65세 이상 어르신은 485만명이 접종을 완료했다.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접종 가능하며,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가을의 숨은 위협, 털진드기 활동 급증 야외활동 시 주의 필요

질병관리청은 10월 31일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지수가 0.24로 전주 대비 증가함에 따라, 가을철 야외 활동 시 털진드기 물림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후 발생되며,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증상은 발열, 근육통, 반점상 발진, 림프절종대 등이며, 최근 3년(22-24년)간 전체 환자의 73.2%가 가을철(10-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국내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는 총 8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2024년도 감시 결과, 남부 지역에서는 활순털진드기, 중부 및 북부 지역에서는 대잎털진드기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털진드기는 평균기온 20℃ 미만에서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해 10-15℃에서 왕성한 활동을 보이다가, 10℃ 미만으로 떨어질 때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5년 43주차에 평균기온 15.9℃로 떨어짐으로써 털진드기의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가을 단풍철 및 추수기를 맞아 털진드기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해 야외활동 시 긴 소매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는 등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뇌졸중 조기 증상 인지·예방수칙 실천 당부

질병관리청은 세계 뇌졸중의 날(10.29.)을 맞아, 뇌졸중의 발생 및 악화 위험을 예방하고 조기증상 인지와 예방수칙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뇌졸중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4위에 해당하는 뇌혈관질환 중 하나로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면서(뇌출혈) 뇌가 손상되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등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질환이다.
질병관리청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뇌졸중 발생 건수는 11만574건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1.2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 뇌졸중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15.7건으로 남자 242.7건, 여자 188.9건이었으며,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에서 1천515.7건으로 가장 높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발생률도 높았다.
뇌졸중 발생 후 30일 이내 사망자 분율인 30일 치명률은 2022년 7.9%이며, 남자 6.9%, 여자 9.1%로 여자가 남자보다 2.0%p 높았으며, 65세 이상에서의 치명률은 11.5%로 나타났다. 또한,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자 분율인 1년 치명률은 2022년 20.1%로 남자 18.5%, 여자 22.1%가 뇌졸중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하며, 65세 이상에서는 뇌졸중 발생 후 1년 이내 32.1%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의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으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생존을 한 경우에도 심각한 장애를 동반하는 등 신체적·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어 사전 예방 및 발생 시 조기 대처가 중요하다.
뇌졸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에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흡연 등이 있으며, 이들 위험 요인을 상시 관리하는 등 예방이 중요하며, 대표적인 뇌졸중 조기증상인 일상생활 시 한쪽 얼굴·팔·다리 마비, 갑작스런 언어 및 시야장애,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보이는 경우, 지체없이 119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최대한 빨리 가까운 전문병원이나 응급실로 가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질병관리청은 뇌졸중의 위험성과 대응요령에 관한 대국민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수칙’을 마련하고, 질병관리청 누리소통망을 통해 홍보콘텐츠를 게재하는 등 조기증상 및 예방수칙 인지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