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매듭병원 정형외과 김경환 원장
수원 매듭병원 정형외과 김경환 원장

소건막류는 새끼발가락이 돌출되면서 통증과 변형을 유발하는 족부 질환이다. 일상생활에서 발가락 통증이 발생하면 신발이 불편해서 나타나는 증상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편안한 신발을 신었는데도 새끼발가락 통증이 계속된다면 단순한 신발 문제로 넘겨서는 안 된다. 소건막류를 방치하면 새끼발가락 부위의 관절이 점차 바깥으로 튀어나오고, 그 주변 점액낭에 염증이 생기면서 물집이나 굳은살이 생기고 통증도 심해진다. 결국 뼈 변형으로 인해 걸음걸이가 불편해지고, 무게 중심이 무너지면서 발목과 무릎, 허리 등 몸 전체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소건막류는 대부분 후천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좁은 앞코 신발이나 하이힐 같은 뒤굽이 높은 구두를 자주 신는 습관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는 좌식 생활이 발달한 탓에 발가락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지기 쉬운데, 이러한 환경 역시 증상을 악화시킨다. 만일 새끼발가락이 아프고 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굳은살이 박히기 시작한다면 발에 부담을 주는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신속하게 조치하지 않으면 소건막류가 진행되면서 발가락 간 균형이 무너져 신체 무게 중심이 흐트러지고, 발목과 무릎, 허리 등 여러 부위에 부담이 가해진다. 돌출 부위가 신발과 마찰되면서 피부 궤양까지 발생할 수 있다. 심한 경우 무지외반증이 함께 생길 수도 있다. 무지외반증은 대표적인 족부 질환으로,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휘어져 들어가며 발의 변형을 유발한다.

소건막류는 MRI, CT, X-ray 등 정밀 영상 검사를 통해 상태를 평가한 후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비수술 치료나 수술 치료를 적용해 개선할 수 있다. 초기에는 편안하고 넉넉한 신발로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등 비수술 치료를 적절히 적용하면 발이 추가로 변형되는 것을 막고 통증도 빠르게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변형이 심하거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중족골 절골술, 최소침습 수술, 관절 유합술 등 다양한 수술법이 있으며, 발가락 변형 정도를 고려해 적절한 수술법을 선택해야 한다. 이 중 최소침습 수술은 피부에 2mm 정도의 작은 구멍을 내고 뼈에 금을 내어 발가락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절개 범위가 작아 회복이 빠르다.

수술 후에는 한동안 발뒤꿈치로 체중을 분산하며 보행해야 한다. 또한 수술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약 6주간은 밑창이 딱딱한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이후에는 발이 편안한 운동화를 신을 수 있으며, 가벼운 걷기 운동 등을 시작할 수 있다. 단, 축구나 러닝처럼 격렬한 운동이라면 최소 3개월 이상 휴식 및 재활을 거친 후 시작해야 한다.

소건막류는 생활 습관과 신발 선택이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증상이 가벼울 때는 충분히 예방과 관리가 가능하지만, 변형이 심해지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조기 치료를 통해 통증을 줄이고, 새끼발가락이 더 이상 휘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수원 매듭병원 정형외과 김경환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