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사성보박물관은 사명대사의 월정사 중수 435주년을 기념해 특별전 ‘사명당 유정 대선사, 선필禪筆로 만나다’를 오는 12일부터 10월 19일까지 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특별전 포스터. 이미지 월정사성보박물관.
특별전 포스터. 이미지 월정사성보박물관.

월정사성보박물관은 사명대사의 월정사 중수 435주년을 기념해 특별전 ‘사명당 유정 대선사, 선필禪筆로 만나다’를 오는 12일부터 10월 19일까지 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조선 중기 고승이자 승병장, 외교 사절, 서예가로 활동한 사명당 유정(惟政, 1544-1610) 대선사의 삶과 정신세계를 대사의 선필(禪筆)을 중심으로 조명하는 자리다.

사명대사는 오대산에 주석하며 폐허가 된 월정사의 중창불사(1587-1590)를 주도하고, 오대산 사고 건립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를 통해 오대산과 월정사는 수행과 신앙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 시기에는 스승 서산대사와 함께 승병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했으며, 전후에는 일본과의 평화 교섭을 주도하는 외교 사절로 활동했다. 이러한 행적을 통해 사명대사는 무(武)와 문(文), 수행과 실천을 아우른 조선 불교의 대표적 선승(禪僧)으로 평가받고 있다.

은해사 사명대사 진영. 이미지 월정사성보박물관.
은해사 사명대사 진영. 이미지 월정사성보박물관.

특별전에 출품되는 전시유물은 사명대사의 모습이 담긴 진영, 지니고 다니신 것으로 전하는원불, 대사의 글이 담긴 전적과 현판을 비롯해 친필과 영인된 묵적 등 52점으로, 다양한 형태로 현재까지 전해지는 대사의 선과 선필, 그리고 선(禪)의 수행자였던 선사의 가르침을 조명하고자 한다. 

전시는 △1부 ‘사명대사의 월정사중창과 오대산사고’ △2부 ‘사명대사 선사의 붓끝, 문인의 향기 ’ △3부 ‘사명대사 붓으로 평화를 이끌다 ’ △4부 ‘시대를 넘어 계승되는 사명대사의 정신’ 등으로 나눠 진행된다. 

사명대사는 임진왜란 이후 ‘구국의 영웅’으로 기억되었고 대사의 정신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사명대사의 선 수행은 선필로, 붓으로 나라를 지킨 실천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지금도 깊은 울림을 주는 정신으로 계승되고 있다. 

‘선가귀감’, ‘약사유리광본원공덕경’속 발문을 통해 스님의 선(禪) 수행과 실천에 대한 사상을 엿볼 수 있고, 소설 ‘사명대사’를 비롯, 현대까지 이어지는 사명대사에 대한 자료들을 통해 스님의 정신이 시대를 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