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공모전이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간 주도의 데이터 유통·거래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거래사 양성을 목적으로 2025년 하반기 데이터거래사 교육생을 모집한다. 국립중앙도서관은 데이터로 더 똑똑하게 문제 해결하기 교육생을 모집한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4월 28일부터 오는 7월 6일까지 ‘제3회 재난안전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한다.

2025년 상반기 데이터거래사 교육생 모집

2025년 상반기 데이터거래사 교육신청 홍보물. 이미지 과기정통부.
2025년 상반기 데이터거래사 교육신청 홍보물. 이미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간 주도의 데이터 유통·거래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거래사 양성을 목적으로 2025년 하반기 데이터거래사 교육생을 모집한다.

대상은 데이터산업법 시행령 제22조에 따른 데이터 거래에 관한 전문지식이 있는 자로 교육은 오는 6월 23일부터 7월 18일까지 4회에 걸쳐 기수 당 5일 일정으로 총 300명을 양성할 예정이다.

데이터거래사 교육은 지난 23년 1월 제1기를 시작으로 지난해에 총 9기까지 44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까지 총 1천명의 데이터거래사를 양성할 계획이다. 교육을 통해 양성된 데이터거래사는 데이터의 생산부터 활용까지 데이터 산업 전반에 거친 데이터 유통·거래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 희망자는 데이터거래사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최종 교육대상자는 데이터산업법에 근거한 자격요건 등을 심사해 선발할 예정이다. 하반기 교육생 모집은 9월 공고할 예정이다.  

‘데이터로 더 똑똑하게 문제 해결하기(중급)’ 교육생 모집 

‘데이터로 문제해결’ 교육생 모집 홍보물. 이미지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로 문제해결’ 교육생 모집 홍보물. 이미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은 데이터로 더 똑똑하게 문제 해결하기(중급) 교육생을 모집한다.

‘데이터로 더 똑똑하게 문제 해결하기(중급)’ 과정에서는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코딩 없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인 ‘오렌지3’을 활용해 모델을 직접 구현해 본다. 이후 실제 데이터를 사용해 모델 성능을 평가하고, 알고리즘을 현실 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학습한다.

교육은 오는 6월 2일과 4-5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대회의실(B3)에서 무료로 진행하며, 교육 시 교안 제공 및 노트북 대여 특전이 부여된다.

교육내용은 △알고리즘 기초와 문제 유형별 접근 모델 △노코드 툴(오렌지3) 소개와 데이터로 AI 모델 구현 △모델 성능 평가와 알고리즘 결과 해석, 사례 분석 등이다.

모집대상은 16세 이상 도서관 이용자 30명(선발형)이며, 모집은 4월 28일부터 오는 5월 18일까지 신청서를 온라인 작성 및 제출하면 된다. 교육 대상자는 오는 5월 23일 개별 연락한다.

교육문의는 교육 운영 담당자(02-589-2023).

‘제3회 재난안전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국민제안 공모

‘제3회 재난안전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포스터. 이미지 행정안전부.
‘제3회 재난안전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포스터. 이미지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4월 28일부터 오는 7월 6일까지 ‘제3회 재난안전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 공모 주제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로 재난에 대비하다’이며, 아이디어 기획과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등 2개 부문으로 실시한다. 접수된 국민제안은 전문가 심사를 통해 데이터 활용성, 실현 가능성, 첨단기술 활용 능력 등을 평가해 수상작 6점을 선정한다.

부문별 가장 우수한 아이디어·서비스는 9월 개최 예정인 ‘범정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통합본선 진출권을 부여하고, 전담 상담도 제공한다. 아울러, 기업 수상자에게는 ‘2026년도 재난안전기업 사업화 역량강화 컨설팅’ 대상 선정 시 가점을 부여하고, ‘2026년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 전시부스를 제공한다.

국민 누구나 개인 또는 단체의 자격으로 참가할 수 있으며, 응모 개수에 제한은 없다. 경진대회 참가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재난안전데이터 공유플랫폼, 행정안전부 누리집 또는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