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전시작품을 감상하며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문화유산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진행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오는 3월 4일부터 12일까지 경주어린이박물관학교 입학생을 모집한다. 국립나주박물관은 문화나눔 교육프로그램 ‘함께 가요, 박물관 나들이’를 4월부터 10월까지 매주 화-금요일에 진행한다. 국립전주박물관은 상설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전북에 있는 우리 마을 보물찾기'를 본관 상설 전시실 로비에서 운영한다.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3월 프로그램
국립중앙박물관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오후 6-9시)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큐레이터의 상세한 전시품 해설과 함께 전시품을 관람하는 프로그램이다. 3월에는 새 단장을 마치고 성황리에 운영하는 선사고대관을 비롯한 다양한 상설전 전시품의 이야기를 풍성하게 즐길 수 있다.
먼저, 3월 첫째 주에는 ‘청동기시대 지배자의 출현’과 ‘고구려를 바라보는 창, 무덤벽화’를, 셋째 주에는 ‘고구려 사람들의 집’을, 넷째 주에는 ‘선사인의 도구-돌도끼 이야기’라는 주제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큐레이터의 친절한 전시 설명을 통해 인류의 기나긴 역사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역사의 길에 자리한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와 경천사 십층석탑에 대한 큐레이터와의 대화도 들을 수 있다. 둘째 주에 진행되는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에서는 광개토대왕릉비의 표면 질감과 비문까지 생생하게 복원한 과정에 대해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또 다른 전시 탁본’에서는 최대 높이 6.39m의 돌 4면에 1천775자가 새겨진 광개토대왕릉비의 탁본에 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전시품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주에 마련된 ‘경천사 십층석탑’에서는 탑의 조성 배경과 수많은 조각의 아름다움, 석탑의 수난사 등을 접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주제들을 마련했다. 서화관에서는 3월 5일 ‘새해 송축용 그림, 세화’를, 19일 ‘조선시대 산수화’를, 26일 ‘조선시대 초상화’를 진행한다. 박물관에 소장된 다양한 화목의 회화들을 만나볼 수 있다.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에서는 12일 ‘양산 출토 반가사유상’을, 19일 ‘불복장과 불상’에 대해 들을 수 있다. 또 5일 세계문화관 일본실에서 ‘일본 회화 감상’을, 26일 기증관 기증 2실에서는 ‘기증의 가치와 문화유산’을 진행한다. 선사고대관에서는 ‘박물관의 역사, 시간 속 이야기’가 진행돼 박물관의 소장품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 여러분, 경주어린이박물관학교에서 만나요

국립경주박물관은 경주어린이박물관학교 제72기 운영을 앞두고 오는 3월 4일부터 12일까지 경주 및 인근 지역 초등학교 4-6학년 재학생과 동일 연령 어린이 50명을 대상으로 입학생을 모집한다.
경주어린이박물관학교는 국립경주박물관이 지난 1954년에 어린이들에게 문화유산의 소중한 가치를 가르칠 뜻을 모아 세운 학교로, 올해로 운영 72년째를 맞는다.
2025년도 교육은 오는 3월 29일부터 9월 27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20차시 일정으로 진행한다.
교육과정은 신라 역사ㆍ문화, 경주 문화유산, 세계유산의 학습과 활동 등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어울려 즐겁게 지내면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어린이용 박물관 감상자료 개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문화 다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등 교육환경의 변화를 적극 반영한 교육들이 시도된다.
입학 신청은 오는 3월 4일 오전 10시부터 국립경주박물관 누리집에서 선착순 접수로 진행된다.
국립나주박물관, 문화나눔 교육 프로그램 ‘함께 가요, 박물관 나들이’

국립나주박물관은 문화나눔 교육프로그램 ‘함께 가요, 박물관 나들이’를 4월부터 10월까지 매주 화-금요일에 진행한다.
프로그램은 박물관에 직접 방문해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는 교육으로, 3월 11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선착순 마감한다.
교육대상은 전남‧광주 지역 장애인, 특수학급, 어르신 등(단체)이며, 1회 교육인원은 20명 내외다. 교육장소는 국립나주박물관 체험학습실과 전시실 등이다.
참가 비는 무료이고, 교육내용은 고대 영산강 유역 역사와 문화 관련 맞춤형 체험 프로그램으로, △금동관 이야기 △옛 사람들의 부엌이야기 △금·은보다 귀한 옥(玉) 등으로 구성된다.
신청방법은 전화 문의해 일정을 확인한 뒤 신청서를 E-mail이나 Fax로 제출하면 된다. 문의 : (061-330-7828).
국립전주박물관, ‘전북에 있는 우리 마을 보물찾기’

국립전주박물관은 25년 상설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전북에 있는 우리 마을 보물찾기'를 국립전주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실 로비에서 운영한다.
전북에 있는 우리 마을 보물찾기를 통해 어린이들이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배우고, 책에서만 배웠던 사실들을 직접 관찰하고 재미있는 추억을 쌓을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오는 3월 8일부터 29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진행된다. 대상은 어린이 관람객으로 상설전시실 1층 보물찾기 수레에 오면 바로 참여가 가능하다.
운영은 상설전시실에 있는 보물을 찾아다니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탐구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문의 : 교육팀(063-220-1016, 1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