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문화주간 포스터. 이미지 문체부.
한복문화주간 포스터. 이미지 문체부.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함께 오는 10월 14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종로구 일대와 전국 각지에서 ‘한복의 멋, 한류의 벗’이라는 주제로 ‘2024 한복문화주간’을 개최한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한복문화주간’은 매년 10월 셋째 주에, 일상 속 한복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전시, 체험, 패션쇼 등 다채로운 한복 관련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행사다. 

올해는 ‘한복문화주간’ 개막에 앞서 광화문 일대에서 종로 한복축제와 연계한 전통한복 체험과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10. 11-12.)해 내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복 바르게 입는 법을 알린다. 여의도 더현대서울에서는 ‘찾아가는 한복상점(10. 3-16.)’을 열어 현대적인 공간에서의 생활한복, 전통 장신구 기획 판매전을 통해 한복의 맵시를 선보인다.

한복 입는 문화 확산 위해
전시, 체험, 토론회 등 개최

‘2024 한복문화주간’에는 서울 종로구를 거점으로 한복 전시와 체험, 토론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서울공예박물관 전시1동(10. 9-20.)에서는 한복특별전 《스치다, 보다(Touch, See)》를 연다. 특별전에는 포, 원삼, 수의 등 한복 소재와 한복 제작과정을 기록한 영상물, 한지 구조물 등을 전시하고 과거부터 현대까지 한복이 우리 생활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보여준다. 

△청와대 춘추관(10. 14-17.)에서는 ‘전통한복 일생의례’를 주제로 첫돌, 성년례, 혼례, 수연례, 제례 등 탄생부터 죽음까지 거쳐 가는 삶의 중요한 고비마다 예를 갖추고 기념하는 데 활용한 전통한복을 전시한다.

△창경궁 환경전(10. 16-20.)에서는 올바른 한복 착용 방법 안내, 인생네컷 촬영 등 전통한복 곱게 입기 체험행사를 한다.  

△국립민속박물관 앞마당(10. 14-15.)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년례의 유례와 전통한복의 역사를 소개하고 관례 재현행사를 운영해 청소년들이 한복과 함께 우리 전통 의례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서울공예박물관 교육동(10. 19.)에서는 ‘한복의 과거와 현재 :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적 활용 방안’을 주제로 한복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포럼을 진행한다.

10. 18. ‘한복문화주간’ 기념행사

한복 패션쇼 및 축하공연

한복문화주간 전국 행사장 안내. 이미지 문체부.
한복문화주간 전국 행사장 안내. 이미지 문체부.

‘한복문화주간’ 기념행사(10. 18.)에서는 한복인 6명에게 문체부 장관 표창과 상장을 수여하고, 한복 패션쇼와 축하공연을 펼친다. 

기념행사에서는 ‘한_결 : 비범한 평범’이라는 주제로 관객이 모델과 직접 소통하고 한복을 가까이에서 체험하는 ‘한복패션쇼’를 열어 한복의 일상화와 대중화를 표현한다.

한복 전시·체험·교육 등

다양한 문화행사 개최

지역 5개 한복문화창작소(강릉, 경북, 부산, 전주, 전남)와 기획프로그램 운영 10개소, 온·오프라인 일반 참여처 282곳 등 전국 300여 곳에서도 한복행사를 만나볼 수 있다.

△지역의 한복문화창작소에서는 국가무형유산 전승자 한복 전시(경북), 한복 놀이 대결(전북), 침선 명장 바느질 배우기(전남) 등을 진행한다. 

△국립세종도서관에서는 어린이들이 전통문화를 종합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전통한복 착용 행사를 비롯해 윷놀이와 비석치기 등 전통놀이 체험행사를 개최한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한복문화주간’ 기획프로그램 전국 10개소(전통염색교육연구소, 새미기픈믈 등)에서는 한복을 주제로 한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복 대여점과 박물관, 미술관, 갤러리, 공방 등 접수를 통해 선정된 일반 참여처 282곳에서는 한복 대여 할인, 체험행사 등을 운영해 전국 각지 다채로운 공간에서 지역 주민들이 한복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베트남 호찌민, ‘한복문화주간’ 해외거점으로 한복 행사  

해외에서도 ‘한복문화주간’ 행사를 진행한다. 베트남 호찌민(10. 26-27.)에서는 ‘한국-베트남 우호 한국문화의 날’ 행사와 ‘한복문화주간’을 연계해 한-베 전통의상 패션쇼, 한복 홍보관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