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이나 걸어다니면서도 스마트폰에서 눈길을 떼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사진 Pixabay 이미지.
지하철이나 걸어다니면서도 스마트폰에서 눈길을 떼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사진 Pixabay 이미지.

일상에서 스마트폰을 내려다보며 어느새 1시간 넘게 훌쩍 지난 경험을 하기도 한다. 평소 컴퓨터나 노트북 모니터를 보는 시간이 많고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면 굽은 등과 거북목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특히, 코어의 힘이 약해지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등은 굽고 어깨는 말리면서 연쇄적으로 목이 앞으로 나오며 거북목이 된다. 게다가 굽은 등과 거북목 자세는 얼굴 부위 림프관 순환을 막아 몸속 노폐물 배출에 지장을 주기때문에 자주 붓거나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국가공인 브레인트레이너 힐링가이드 이재호 교수(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국가공인 브레인트레이너 힐링가이드 이재호 교수(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고단한 하루 일과를 마치고 잠자리에서 또는 아침을 시작하는 루틴으로 굽은 등과 거북목을 펴는 스트레칭을 해보면 어떨까?

브레인트레이너 힐링가이드 이재호 교수(글로벌사이버대학교 명상치료학과)는 가슴 근육을 스트레칭하고 약해진 등 근육을 강화하는 스트레칭 힐링법을 소개했다.

먼저, 엎드려 아랫배를 바닥에 붙여준다. 이때 발끝은 세워주고,  양팔은 45도 아래쪽으로 쭉 뻗어주고 엄지손가락이 땅 방향을 향하게 한다.

굽은 등 펴기 스트레칭 동작 1.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굽은 등 펴기 스트레칭 동작 1.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둘째, 상체를 천천히 세워주고 고개도 자연스럽게 들어 목의 앞쪽을 늘려준다.

굽은 등 펴기 스트레칭 동작 2.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굽은 등 펴기 스트레칭 동작 2.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셋째, 상체를 세우는 것보다 어깨를 뒤쪽으로 당겨 견갑골이 맞닿는 느낌으로 최대한 당겨주면 상체도 자연스럽게 들린다.

굽은 등 펴기 스트레칭 동작 3.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굽은 등 펴기 스트레칭 동작 3.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넷째, 양쪽 견갑골이 맞닿고 견갑골을 아래로 내려준다는 느낌으로 자세를 취한다.  3초간 멈추고 천천히 상체를 내려놓는다. 이 동작을 세 번 반복한다.

굽은 등 펴기 스트레칭 동작 4.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굽은 등 펴기 스트레칭 동작 4. 사진 일지의 브레인TV 갈무리.

마지막 동작이 끝나면 팔과 발등을 펴고 편안하게 잠시 호흡한다.

브레인트레이너 힐링가이드 이재호 교수의 ‘굽은등, 거북목 스트레칭’ 짧은 영상은 뇌건강 종합 유튜브 채널 ‘일지의 브레인TV’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