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중앙연구원(임치균 원장 직무대행)의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을 수행하는 국내 12개 대학연구소의 성과 및 문제 해결 방안 등을 공유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 대중문화에 편중된 세계인들의 관심을 학문연구 성과를 비롯한 한국학 전반으로 이끌고자 2021년부터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에는 국내 12개 대학연구소(경희대, 고려대(2개소),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2개소), 성균관대, 숭실대, 연세대(미래), 인하대, 전북대)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교육부에서 총 500여억 원을 지원받아 매년 5~10억 원씩 5년간 지원해 한국학 온라인 강좌를 제작⸱보급한다.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 박소정 센터장이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이라는 주제로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성과를 발표했다. 사진 한국학중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 박소정 센터장이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이라는 주제로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성과를 발표했다. 사진 한국학중앙연구원

4월 5일(금) 오후 2시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국제관에서 열린 성과공유회에는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1단계(3년) 종료 시점을 맞아 교육부, 자문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와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12개 대학연구소 관계자가 참석했다.

성균관대학교와 서강대학교가 국내 대학연구소 중 대표로 2023년도 사업 운영성과를 발표했다.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 박소정 센터장은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이라는 주제로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성과를 발표했다.

박소정 교수는 “성균관대학교는 2021년도부터 총 21개의 한국학 강좌를 제작해 K-MOOC플랫폼을 통해 확산 중이다. 올해도 10개 강좌를 추가 제작할 예정이며 Coursera(2012년에 개설한 세계 최대의 온라인 공개강좌 플랫폼) 플랫폼을 통해 더욱 확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정소이 소장이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영상 제작 플랫폼”을 주제로 발표했다. 사진 한국학중앙연구원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정소이 소장이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영상 제작 플랫폼”을 주제로 발표했다. 사진 한국학중앙연구원

 

서강대학교 K종교학술확산연구소 정소이 소장은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영상 제작 플랫폼”을 주제로 발표했다.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온라인 강좌들은 한국의 역사와 민속, 어문과 문화, 철학과 종교, 사회과학 및 예술 등 한국학의 인문·사회와 관련하여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제공한다. 한국 드라마 및 영화, K-팝 등의 역사와 한류의 흐름과 맥락을 살펴보는 <K-콘텐츠와 한류사> 강좌, 한국 근현대문학에서 뚜렷한 문학적 성취와 개성을 보여준 작가 10인의 생애와 작품을 다룬 <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강좌 등 현재까지 200개 이상의 한국학 관련 교육 강좌가 제작되어 K-MOOC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각 강좌는 한국어는 물론 영어·중국어·프랑스어·스페인어 등의 자막을 동시 제공한다.

한국학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K-MOOC 사이트에서 무료로 수강할 수 있고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이수증도 발급받을 수 있다.

임치균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직무대행은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한국학 온라인 강좌를 통해 제공되는 새로운 교육콘텐츠로 한국학을 세계화할 수 있다”며, “국내 연구 성과와 해외 수요를 반영한 한국학 신규 강좌를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해 한국학 확산의 훌륭한 모범사례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