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꽃이 만개하는 봄을 맞아 창경궁과 창덕궁을 해설과 함께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창경궁관리소는 한국숲해설가협회와 함께 오는 4월 6일부터 11월 30일까지 매주 토·일요일 오후 2시에 창경궁의 역사와 나무에 대한 전문해설을 들으며 창경궁을 관람할 수 있는 '역사와 함께하는 창경궁 나무이야기'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창덕궁관리소는 4월 2일부터 문화재지킴이 기업인 신한은행과 공동 기획·제작한‘스마트폰으로 듣고 보는 창덕궁 후원 해설 서비스’를 운영한다.

춘사월에 듣는 ‘역사와 함께 하는 창경궁의 나무 이야기’

창경궁 나무이야기 장면. 이미지 문화재청.
창경궁 나무이야기 장면. 이미지 문화재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경궁관리소는 한국숲해설가협회와 함께 오는 4월 6일부터 11월 30일까지(8월 제외) 매주 토·일요일 오후 2시에 창경궁의 역사와 나무에 대한 전문해설을 들으며 창경궁을 관람할 수 있는 '역사와 함께하는 창경궁 나무이야기'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역사와 함께하는 창경궁 나무이야기'는 창경궁관리소가 지난 2017년 한국숲해설가협회와 창경궁의 나무해설 프로그램 공동 운영을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을 통해 올해로 8년째를 맞은 궁궐 조경 및 수목 전문 해설 프로그램이다. 

현재 창경궁에는 동궐도 상에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는 선인문 앞의 회화나무, 춘당지 부근의 수령이 500여 년으로 추정되는 느티나무, 백송, 주목 등의 고목들을 포함, 지난 2023년 기준으로 교목 95종, 관목 78종 등 약 5만 3천 여 그루의 수목들이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토요일에는 춘당지 일대를, 일요일에는 궐내각사터 일대를 돌며 조선 궁궐의 조경 원칙, 동궐도 상의 나무, 창경궁의 식생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으며 탄소중립의 중요성도 함께 알아보는 시간으로 꾸며진다.

또한, 4월 봄꽃이 만개하는 시기에 맞추어 시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봄이 되어 다시 찾아온 춘당지의 천연기념물 ‘원앙’도 함께 볼 수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선착순 20명까지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매주 토·일요일 오후 2시 창경궁 옥천교 앞에서 시작해 1시간 30분 가량 진행된다. 

내 손 안의 해설사와 함께하는 창덕궁 후원 산책 

창덕궁 후원해설 녹음중인 배우 소유진. 이미지 산림청.
창덕궁 후원해설 녹음중인 배우 소유진. 이미지 산림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는 4월 2일부터 문화재지킴이 기업인 신한은행과 공동 기획·제작한‘스마트폰으로 듣고 보는 창덕궁 후원 해설 서비스’를 운영한다.

이번 해설 서비스는 지난 2022년 ‘스마트폰으로 듣고 보는 창덕궁 전각 해설 서비스’에 이은 신한은행과의 두 번째 협업 사업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창덕궁 해설 서비스는 관람객이 개인 휴대전화를 활용해 창덕궁의 해설을 듣고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창덕궁 후원 초입부에 설치된 안내판의 QR코드를 휴대전화로 인식하면 신한은행 사회공헌활동 누리집으로 연동돼 바로 청취할 수 있다. 한국어 해설 외에도 외국인 관람객과 청각장애인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영어, 중국어, 일본어, 수어까지 총 4개 형태를 함께 지원한다.

이번 음성(오디오) 안내 서비스는 창덕궁에 대한 기본 해설을 비롯해 역사적 상황을 각색하여 배우와 전문 성우가 재연하는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함께 제공하며, 특히 이번에는 소유진·이동휘 배우가 함께 참여하여 더욱 생동감 있고 흥미로운 콘텐츠가 탄생했다.

특히, 평소 창덕궁 후원은 해설사의 인솔 하에 정해진 입장시간 내에만 관람이 가능하나, 4월 2일부터 5월 19일까지는 해설사와 함께 후원입장 이후 별도의 인솔 없이도 관람동선 범위 내에서 후원을 자유관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