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의집, 배로나르다' 초연 사진. 제공 극단 성북동비둘기
'알바의집, 배로나르다' 초연 사진. 제공 극단 성북동비둘기

극단 성북동비둘기가 스페인 작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원작을 한국 청년 노동 현실로 재해석한 연극 〈알바의집, 배로나르다〉가 오는 8월 22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성북구 성수아트홀에서 재연한다.

이 작품은 CJ문화재단 2024 스테이지업 창작단체 지원작 선정에 이어 2025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지원 프로젝트에 연속 선정된 화제작이다.

2024년 초연 당시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희곡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을 현대 한국의 비정규직 노동 현실에 투영해 큰 화제를 모았다.

올해 재연에서 한결 더 경쾌하고 위트 있는 톤을 더했다. 묵직한 주제 의식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관객들이 더욱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여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극단 성북동비둘기의 김현탁 연출은 로르카 원작의 제목에서 ‘알바(아르바이트)’와 ‘배로 나르다’라는 기발한 언어유희를 발견하고, 이 창의적 해석을 통해 오늘날 한국 청년들의 비정규직 현실을 무대 위로 생생하게 소환한다.

연극 '알바의집, 배로나르다' 초연 사진. 제공 극단 성북동비둘기
연극 '알바의집, 배로나르다' 초연 사진. 제공 극단 성북동비둘기

1930년대 스페인 여성들의 억압된 삶을 그린 원작과 달리, <알바의집, 배로나르다>는 요식업, 택배배송, 의류판매 등 한국 청년들의 아르바이트 현장들을 조명한다. 알바에서 알바로 이어지는 청년들의 일상을 따라가며, 관객은 자연스럽게 노동의 의미와 인간 존엄의 가치를 되묻게 될 것이다.

극단 성북동비둘기는 고전 희곡의 해체와 재구성, 미디어의 연극적 수용 등 실험적 작업으로 국내외 무대에서 주목받는 아방가르드 극단이다. 2005년 창단 이래 재미와 본질을 동시에 추구하며, 연극의 존재 이유와 가능성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왔다.

연극 '알바의집, 배로나르다'(2025) 포스터. 제공 극단 성북동비둘기
연극 '알바의집, 배로나르다'(2025) 포스터. 제공 극단 성북동비둘기

 

‘한국의 그로토프스키’로 불리며 동아연극상을 네 차례 수상한 김현탁 연출이 이번에도 특유의 독창적 연출을 선보인다. 제59회 동아연극상 신인연기상을 수상한 곽영현을 비롯해 극단의 주축 멤버인 이진성·김미옥과 김남현, 장지호, 조인희, 이성원, 윤나영, 조명진, 정준혁, 안수지, 최윤영 등 젊은 배우들이 어우러져 세대를 아우르는 조화로운 앙상블을 완성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