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제2회 해금연주회 공연 모습. 사진 아트플랫폼 유연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제2회 해금연주회 공연 모습. 사진 아트플랫폼 유연

 

일본 오사카 히가시오사카시 문화창조관 극장에서 1월 11일 열린 제2회 해금연주회는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이 공연의 2부를 장식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부수석 조혜령 연주자의 해금 독주회는 한국 전통음악의 아름다움과 해금의 다채로운 매력을 일본 관객들에게 전하는 소중한 무대였다.

이번 연주회는 일본 오사카의 해금교실 회원들이 주최한 것으로, 이들은 10년 이상 해금을 배우고 연주해 온 아마추어 음악 애호가들이다. 교사, 제약회사 직원, 간호사 등 직업이 다양한 이들은 해금의 매력에 매료되어 매년 정기 발표회를 연다. 이들의 성과는 조혜령 연주자의 꾸준한 노력과 헌신 덕분에 가능했다.

조혜령 연주자는 2010년부터 일본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며 해금교실 회원들을 지도했다. 오사카 해금교실 이미향 대표는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조혜령 연주자에게 배운 내용을 회원들에게 전수하며, 해금의 전통을 이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공연은 총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부는 오사카 해금교실 회원들이 정악과 창작음악을 연주하며 시작하여, 나가스 토모카의 비파와 샤쿠하치 연주로 무대의 깊이를 더했다.

해금연주회 특별 강습. 사진 아트플랫폼 유연
해금연주회 특별 강습. 사진 아트플랫폼 유연

 

2부는 조혜령 연주자의 해금 독주로 이어졌다. 조혜령은 한국 민요 ‘아리랑’과 ‘꼭두각시’를 시작으로 피아졸라의 탱고와 일본 가곡까지 폭넓은 곡들을 연주하며 해금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은 나가스 토모카와 이미향 대표와 함께 ‘반달’과 ‘초승달’을 연주하고, 출연진이 모두 참여하여 ‘아라리요’를 합주했다.

독주회 이틀 후인 1월 13일, 조혜령 연주자는 오사카 츠루하시에 있는 이미향 해금연구회에서 특별 강습을 했다. 10년 넘게 해금을 연습해온 학원생들과 함께한 이 강습회는 한범수류 해금산조의 진양과 자진모리, 정악 유초신지곡 군악을 배우는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조혜령 연주자는 학원생들의 연주를 꼼꼼히 지도하며 연주 기법과 표현력 향상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강습회에 참여한 학원생들은 “조혜령 선생님의 세심한 지도 덕분에 해금의 깊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라고 만족감을 표했다.

조혜령 연주자는 일본에서의 꾸준한 활동을 통해 해금을 중심으로 한 한일 문화 교류의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그의 열정과 헌신은 한국 전통음악의 매력을 일본 현지에 알리며, 새로운 관객들과 함께 그 가치를 공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제2회 해금연주회 포스터. 이미지 아트플랫폼 유연
제2회 해금연주회 포스터. 이미지 아트플랫폼 유연

 

조혜령 연주자는 “해금은 두 개의 줄로 무한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특별한 악기이다. 일본에서 해금을 사랑하는 분들과 함께할 수 있어 매우 뜻깊은 시간이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그는 앞으로도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해금을 통한 문화 교류와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위해 힘쓸 계획이다.

조혜령 연주자는 여러 차례 독주회를 통해 해금의 가치를 전 세계에 알렸다. 대표적인 독주회로는 <춤이 함께 하는 풍류음악>, <공간속으로>, <로맨틱 해금>, <해금, 두 줄이 들려주는 이야기> 등이 있으며, 음반으로는 <해금의 향기>, <한범수류 해금산조> 등을 발표했다. 또한, 윤혜진 작곡의 해금독주곡 연구와 이해식의 해금 작품 분석을 통해 해금 학문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조혜령 연주자는 서울대학교 국악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음악대학원 박사과정을 마쳤다. 가천대학교, 수원대학교, 서울대학교에 출강했으며, 또한 경북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한다. 현재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부수석으로 활동한다. 국가무형유산 봉산탈춤 악사 이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