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이 ‘가치 만드는 국립극장’ 프로젝트를 통해 국립창극단 창극작가를 비롯, 국립무용단의 안무가, 국악관현악단 작곡가 등 양성에 나선다.
국립극장은 전통공연예술 분야의 창작자·예술가를 양성하기 위한 ‘2025 가치 만드는 국립극장’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창극단 ‘창극 작가 프로젝트’와 국립무용단 ‘안무가 프로젝트’, 국악관현악단 ‘작곡가 프로젝트’에 참여할 예술가를 모집한다.

국립창극단 창극작가 프로젝트
국립창극단은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의 지속적인 발전과 외연 확장을 목표로, 재능 있는 작가를 발굴·육성하는 ‘창극 작가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지난 2022년부터 2년간 진행된 ‘작창가 프로젝트’에 이어 마련된 프로그램으로, 이번에는 창작의 기초가 되는 극본에 초점을 맞춘다.
판소리를 기반으로 하는 창극 극본은 연극·뮤지컬과 마찬가지로 극 형식을 띠지만 여러 소리꾼이 판소리조로 부를 수 있는 가사가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극본 집필 역량 외에도 판소리와 작창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선정된 작가들은 1대1 멘토링, 마스터 클래스, 창작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창극 극본 집필의 실제를 배우며, 완성작은 9월 시연회를 통해 관객에게 선보인다. 또한 향후 국립창극단 작품에 창작진으로 참여하거나 시연회에서 선보인 작품을 창극으로 발전시키는 등의 기회가 제공된다.
창극에 관심 있는 만 19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지원신청서와 지정 판소리 사설을 창극 극본화한 응모작, 그리고 본인이 창작한 작품 1부를 함께 제출하면 된다. 지원서 접수는 오는 2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간 전자우편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국립극장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무용단 안무가 프로젝트
국립무용단은 전통춤에 뿌리를 둔 동시대적 한국무용 신작을 개발하고 재능 있는 안무가를 발굴하기 위해 국립무용단 ‘안무가 프로젝트’ 3기를 모집한다.
‘안무가 프로젝트’는 참가자에게 안무뿐 아니라 기획, 무대 구성 등 공연 창작에 수반되는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안무가의 창작역량과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국립극장의 전문 창·제작 시스템을 활용,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하는 통합 멘토링 과정도 거친다.
참가자들은 약 7개월간 공연 제작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실습하며, 오는 11월 각 30분 내외의 작품을 달오름극장 무대에 올릴 예정이다.
지원 자격은 한국무용을 전공한 창작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지원신청서와 작품제안서를 함께 제출하면 된다. 작품제안서는 전통 소재에 기반한 자유주제로 대외적으로 공개된 적 없는 순수 창작물이어야 한다.
지원서 접수는 오는 2월 3일부터 7일까지 5일간 전자우편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국립극장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국악관현악단 작곡가 프로젝트
국립국립관현악단은 2025 ‘국립국악관현악단 작곡가 프로젝트’에 참여할 작곡가를 모집한다.
‘작곡가 프로젝트’는 전통에 기반한 차세대 창작자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가치 만드는 국립극장’ 사업의 일환이다. 지난 2022년부터 3년간 진행된 ‘지휘자 프로젝트’에 이어 마련된 프로그램으로, 이번에는 신진 작곡가를 발굴‧육성해 국악관현악 작품 창작 능력을 갖춘 전문 작곡가로 성장하도록 지원한다.
선정된 작곡가들은 3월부터 8월까지 약 6개월간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작곡가로서 역량을 키우며 국악관현악 작품을 완성할 예정이다. 완성된 작품은 2025년 9월 해오름극장 무대에서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연주로 초연될 예정이다.
‘작곡가 프로젝트’ 지원 자격은 1991년 이후 출생자(만 34세 이하) 중 작곡 전공자 혹은 현재 작품 활동 중인 작곡가다. 지원신청서와 작품계획서, 그리고 향후 10분 이내로 확장할 수 있는 2분 이내의 자유 주제 국악관현악의 악보와 음원을 함께 제출하면 된다.
지원서 접수는 오는 2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간 전자우편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국립극장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전화 02-2280-4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