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이 ‘국립 젊은 공연예술가 평론가상’ 제정 이후 최초로 대상 수상작이 탄생했다. 사진 국립극장
국립극장이 ‘국립 젊은 공연예술가 평론가상’ 제정 이후 최초로 대상 수상작이 탄생했다. 사진 국립극장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이 ‘국립 젊은 공연예술가 평론가상’ 제정 이후 최초로 대상 수상작이 탄생했다.

국립극장은 1월 16일(목) 해오름극장에서 ‘제4회 국립극장 젊은 공연예술 평론가상’(이하 국립 평론가상) 시상식을 열고 대상 구수정, 우수상 홍서아, 장려상 김소정·오해인을 각각 시상했다.

대상 수상자 구수정은 ‘국립 평론가상’ 제정 이후 첫 대상 수상자이다.

구수정은 국립창극단의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와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의 소리극 <종이꽃밭: 두할망본풀이> 평론으로 심사위원단의 만장일치 지지를 얻었다. 특히 <변강쇠 점 찍고 옹녀> 평론은 여성주의 서사 관점에서 작품의 의의와 한계를 예리하게 짚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우수상 수상 홍서아는 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금란방> 평론과 극단 성북동비둘기의 연극 <걸리버스> 평론이 좋은 평가를 얻었다.

국립극장은 1월 16일(목) 해오름극장에서 ‘제4회 국립극장 젊은 공연예술 평론가상’ 시상식을 열고 대상 구수정, 우수상 홍서아, 장려상 김소정·오해인을 각각 시상했다. 사진 국립극장
국립극장은 1월 16일(목) 해오름극장에서 ‘제4회 국립극장 젊은 공연예술 평론가상’ 시상식을 열고 대상 구수정, 우수상 홍서아, 장려상 김소정·오해인을 각각 시상했다. 사진 국립극장

 

‘국립 평론가상’은 국립극장이 신진 평론가를 발굴하고 지원해 공연예술 비평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2021년에 제정한 이후 총 13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번 공모는 2024년 4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진행됐으며, 국립극장 제작공연 평론 1편과 자유 주제 공연 평론 1편이 과제로 제시됐다. 심사는 4인의 전문가 심사위원단이 블라인드로 진행해 공정함을 확보했다.

심사위원단은 “공연예술 평론의 위상이 위축되는 가운데 첫 대상이 탄생해, 평론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공연을 자신만의 시각으로 통찰하고, 치열하게 비평하는 젊은 평론가들의 활약이 더욱 왕성해지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대상에는 상금 5백만 원, 우수상에는 1백만 원, 장려상은 50만 원이 각각 수여됐다.

수상작은 2024년 12월 31일 《제4회 국립극장 젊은 공연예술 평론가상 당선작 모음집》으로 발간돼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자료실 및 공연예술박물관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수상작 요약본은 월간 《국립극장》 2025년 2월호부터 순차적으로 게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