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을 맞아 과학의 다채로운 세계를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무대가 펼쳐진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대한민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안착 2주년을 기념해 국민과 함께하는 온·오프라인 토크콘서트를 오는 12월 27일 오후 3시 개최한다. 국립광주과학관은 오는 13일 ‘명품의 비밀’이라는 테마로 성인들을 위한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 행사를 개최한다. 국립대구과학관이 올해 개관 11주년을 맞아 크리스마스 과학문화행사와 특별공연을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 개최한다.

다누리 달 궤도 안착 2주년 기념 온오프라인 토크콘서트

다누리 토크콘서트 포스터. 이미지 항우연.
다누리 토크콘서트 포스터. 이미지 항우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대한민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안착 2주년을 기념해 국민과 함께하는 온·오프라인 토크콘서트를 오는 12월 27일 오후 3시 개최한다.

‘개척자들 달의 문을 열다, 다누리의 2년!’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토크콘서트에서는 다누리 참여 연구진이 나서 다누리의 임무 수행 과정의 에피소드와 비하인드 스토리, 운영 성과를 소개하고, 참가자들과 대화할 예정이다.

토크콘서트에서는 대전 항우연의 다누리 관제실과 다누리에 탑재한 NASA의 영구음영지역카메라 섀도우캠의 개발자 마크 로빈슨 전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를 온라인으로 현지 연결하고, 구독자 53만명의 유튜브 채널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의 최준영 박사가 우주탐사의 가치에 대한 미니 강의도 진행한다.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하는 이번 토크콘서트의 오프라인 행사는 씨스퀘어(서울 강남)에서 열리며, 참가자는 국내 성인 150명을 대상으로 선착순 모집한다. 오프라인 참가 지원은 오는 12월 13일 오전 10시부터 항우연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온라인 참여는 항우연 유튜브 채널(KARI TV)을 통해 누구나 가능하며, 연구진과의 대화에도 참여할 수 있다. 

국립광주과학관, ‘제10회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19’

‘제10회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19’ 포스터. 이미지 국립광주과학관.
‘제10회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19’ 포스터. 이미지 국립광주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은 오는 13일 ‘명품의 비밀’이라는 테마로 성인들을 위한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10회차를 맞는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은 성인 관람객들을 위한 국립광주과학관 대표 과학문화 행사 중 하나로 과학관이 아이들을 위한 공간을 넘어 성인들의 과학에 대한 친근감 증진 및 생활 속에서 과학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기획된 과학문화 프로그램이다.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은 △음악공연과 함께하는 사이언스 다이닝을 시작으로 △천체투영관에서 ‘명품브랜드 탄생’이라는 흥미로운 주제의 지식콘서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후 △전문가와 함께 명품감정에 대해 알아보는‘명품감정 클래스’체험 △다양한 명품향수에 대해 알아보고 직접 향수를 만들어보는‘명품향수 만들기체험’등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제10회 사이언스 나이트 페스티벌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국립광주과학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대구과학관, 개관 11주년 기념 ‘산타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체험 행사

‘산타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포스터. 이미지 국립대구과학관.
‘산타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포스터. 이미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이 올해 개관 11주년을 맞아 상설전시관 무료 개방과 함께 크리스마스 과학문화행사와 특별공연을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 과학관 일대에서 개최한다.

과학문화행사는 ‘산타와 함께하는 사이언스’를 주제로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만들기 체험과 특별이벤트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산타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체험 포스터. 이미지 국립대구과학관.
‘산타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체험 포스터. 이미지 국립대구과학관.

크리스마스 특별공연은 오는 21일, 22일 가족 뮤지컬 ‘고고다이노 해양구조대!’, 25일에는 코미디 벌룬 퍼포먼스 ‘산타 매직 벌룬쇼’공연을 본관 1층 사이언트리홀에서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애니메이션을 주제로 한 ‘.gif: 움직이는 그림’ 특별기획전은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알아보고 제작과정에서 다루어지는 과학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전시로 2025년 3월 3일까지 본관 1층 기획전시실에서 관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