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정 초등학교 교사는 10년 가까이 학교 밖 아이 책 모임과 어른 책 모임을 운영해왔다. 그래서 책을 읽고 여럿이 한데 모여 책 대화를 나눌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잘 안다. 책 모임에서 만난 아이와 어른은 스스로, 기꺼이, 즐겁게 책을 읽었다. 단지 많이 읽는 게 아니라 깊게, 제대로 읽으려 했다. 혼자가 아니라 타인과 함께 소통하면서 더 능숙한 독자로, 성숙한 독자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런 책 모임을 그가 수업을 하는 교실에서 실천하기까지는 쉽지 않았다.

“또 읽어요?”

최근 몇 년 사이 책을 소개하는 박미정 교사에게 이런 심드렁한 반응을 보이는 아이가 하나둘 생겼다. 이전 학년에서 ‘온작품 읽기’ 한 책에 대해 “이미 읽었으니 다시 읽지 않아도 돼요.”라고 말하는 아이, 학년말에 교실을 정리하며 그간 함께 읽었던 동화책을 분리수거함에 가볍게 던져 넣는 아이도 눈에 띄기 시작했다.

박미정 지음 "우리는 책 모임 하러 학교에 갑니다" 표지. 이미지 학교도서관저널
박미정 지음 "우리는 책 모임 하러 학교에 갑니다" 표지. 이미지 학교도서관저널

박미정 교사에게도 의심하는 순간이 늘었다. 어린이책을 연구하고, 어린이책으로 수업한 경험을 쌓아갈수록 ‘이게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일까?’ 정말 이런 수업이 아이들을 평생 독자로 키울 수 있나? 화려하고 요란스러울 뿐, 독서교육에 알맹이가 없다고 느껴지기도 했다.

박미정 교사는 무거운 마음으로 그간 실천해온 독서교육을 돌아보았다. 작정하고 살피니 아쉬운 부분이 꽤 많아 보였다. 그간의 방식으로는 아이들 각자의 독서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아이가 책을 잘 읽어내고 있는지, 어느 부분에서 오독이 발생했는지 알 수 없다. 아이가 책을 재미있다고 하면, 활동에 즐겁게 참여하면, 그저 막연하게 잘 읽고 있겠니 할 뿐이다. 아쉬운 부분을 채울 새로운 독서교육이 필요했다. 그것이 ‘책 모임’이다.

학교 밖에서 해온 책 모임을 교실에서 실천한다면 우리 아이들에게 의미 있는 독서경험이 되지 않을까? 그간 자신이 해온 독서교육의 아쉬운 부분을 채워줄 새로운 길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박미정 교사는 책 모임을 교실로 가져왔다.

여기서 교실 책 모임은 ‘책 대화’에 집중한다. ‘책+대화=책 모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학급 전체가 같은 책을 읽고, 동시에 자유로운 감상을 나눈다. 선생님과 아이들 모두 교실 책 모임의 참여자이다.

박미정 교사는 아이들과 만난 3월 첫날 “책 모임”을 안내했다. 이후 ‘매주 1회는 책 모임 한다’는 원칙에 따라, 책 모임 1년 계획을 세워 이끌었다. 읽기·말하기·듣기·쓰기를 통합하여 단계적으로 지도하려 애썼다. 특정 시간에만 하는 게 아니라 학급 운영의 중심에 책 모임을 놓고,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시간에 실천했다. 물론 쉬운 길은 아니었다. 주변에 앞서 실천하는 분이 없어 오롯이 혼자 고민하고, 방법을 찾아야 했다. 그렇게 뚜벅뚜벅 나아가니 아이들이 변하고 교실이 변했다.

“1년간 꾸준히 책 대화를 나누면서 아이들의 실제적인 독서 능력도 신장되었다. 읽은 내용을 요약하고, 책에 담긴 작가의 문제의식을 읽어내는 데 능숙해졌다. 대화 나눌 때 사용하는 어휘가 풍부해졌고, 말하는 내용도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에 가까워졌다. 그보다 더 의미 있는 건 아이들이 책 대화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고, 서로 존종하는 태도를 길렀다는 점이다. 덕분에 우리 반은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저마다 자기 속도로 열심히 성장하는 공동체가 되었다.”

책 모임 하나로 이렇게까지 큰 변화를 가져온다니 놀랍다.

박 교사는 몇 년간 책 모임에 집중해보니 학급 운영 전반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걸 알게 됐다. 기대하지 못한 장면에서 아이들이 변화된 모습을 보여줬고, 교실이 ‘더불어 성장하는 공동체’가 되어 아이들을 따스하게 품었다. 그래서 박미정 교사는 말한다. “이제 책 모임은 내게 단지 수많은 독서교육 방법 중 하나가 아니다. 내 교실 운영의 중심이자 기둥이다.”

책 모임을 하게 되면 교사도 성장한다. 아이들을 위해 애쓸수록 선생님은 읽고, 말하고, 듣는 일을 잘하게 된다. 어떤 대상이나 문제를 다각도로 살피고, 문제의 핵심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을 갖게 된다. 박미정 교사는 책 모임을 하면서 선생님들이 근사해지는 걸 자주 본다. 생각이 유연해지고, 표정이 온화해지며, 말이 조리 있고 품위 있어진다. 책 모임 하면 아이들과 더불어 선생님도 성장한다. 아이들에게도 좋고, 선생님에게도 좋다.

박미정 지음 "우리는 책 모임 하러 학교에 갑니다" 표지. 이미지 학교도서관저널
박미정 지음 "우리는 책 모임 하러 학교에 갑니다" 표지. 이미지 학교도서관저널

 

박미정 교사는 이렇게 고민하고 실천하고 깨달은 책 모임에 관한 모든 것을 《우리는 책 모임 하러 학교에 갑니다》(학교도서관저널, 2023)에 담아 공개했다. 교실 책 모임이 무엇인지, 책 모임 하는 아이들은 어떻게 자라는지, 책 모임 하며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할지 등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책 모임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아이들이 해보면 좋은 다양한 활동과 선생님에게 필요한 노하우부터 질문 만들기, 소감 나누기, 글쓰기 등 아이들이 주체적인 독자로서 작품과 만나도록 돕는 책 모임 실천 사례, 선생님이 주도적으로 책 모임을 이끌어나가고 싶을 때 어떻게 하는지, 아이들끼리 책 모임을 할 때 어떻게 하면 좋을지, 나아가 책 모임이 실패하는 이유, 책 모임을 더 잘 이끌고 싶은 선생님을 위한 노하우까지 소개한다.

부록으로 ‘책 모임 추천 도서’ ‘책 대화를 돕는 도구’ ‘참고도서 목록’을 제시하여 필요할 때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런데 박미정 교사가 책 모임에 푹 빠지게 된 건, 단지 책을 좋아해서가 아니라고 한다.  책을 좋아하는 것 이상의 다른 이유가 있다.

“내가 책 모임에 푹 빠지게 된 건, 단지 책을 좋아해서가 아니다. 나와 함께 책을 읽고, 자신의 진솔한 이야기를 기꺼이 들려주는 책벗과 만나는 게 좋아서다. 어쩌면 나는 책 모임에서 책이 아니라 책벗의 삶을 읽는지도 모른다. 지혜롭고 따스한 책벗 곁에서 나도 조금씩 좋은 사람이 되어간다고 믿는다.”

조금씩 좋은 사람이 되어가는 것, 책 모임에서 얻는 가장 빛나는 가치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