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은 이미 여름, 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발생위험이 높아져, 음식물의 조리·보관·섭취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에 따르면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고온·다습한 여름에 주로 발생하며, 최근 이른 더위 등 기후 변화에 따라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 5년간 6월에서 8월 여름철 평균 병원성대장균 발생건수와 환자수는 2013년 17건, 656명에서 2014년 17건, 418명, 2015년 23건, 1,676명, 2016년 32건, 2,281명, 2017년 30건, 1,832명으로 늘어났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걸리면 묽은 설사, 복통, 구토, 피로, 탈수 등의 증상을 보이며, 병원성대장균의 한 종류인 장출혈성대장균의 경우 증세가 좀 더 심하여 출혈성 대장염, 용혈성 요독증후군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법.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법.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분변에 오염된 물, 오염된 용수로 세척한 채소, 도축과정에서 오염된 육류 등을 통해 일어난다. 특히 분변, 축산 폐수 등에 오염된 지하수, 하천수를 사용하여 채소를 재배하면 채소가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될 수 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식품은 채소류 〉육류 〉복합조리식품(김밥 등) 순으로 나타났다. 채소의 경우,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된 상추, 부추, 오이 등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지 않거나, 세척했어도 상온에 장시간 방치한 후 섭취함에 따라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을 위해 조리할 때는 조리 전 비누 등 손세정제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 닭 등 가금류, 수산물, 육류 등을 세척할 시에는 주변에 날로 섭취하는 채소, 과일 등에 물이 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칼·도마도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조리가 되지 않은 식품과 이미 조리가 된 식품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가정에서는 식초 사용 가능) 등으로 5분 이상 담근 후 물로 3회 이상 세척하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해야 한다.  세척 소독된 채소 등 식재료는 상온에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육류, 가금류, 계란 및 수산물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하여야 한다.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빨리 2시간 이내에 섭취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기온이 높아지는 시기에는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을 항상 준수해야 한다며, 냉장고 소독, 음식물의 조리·보관 등 위생적 취급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