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세프 한국위원회(회장 정갑영)는 11월 13일 김영배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과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유키 모쿠오(Yukie Mokuo) 유니세프 민간모금국 국가위원회협력 부국장, 이용록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 지방정부협의회 회장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고민정·김한규·박주민·이수진 의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아동친화도시가 이뤄 온 성과와 변화를 바탕으로,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를 전국 지자체로 확대해 모든 아동의 권리 증진이 실현되어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다. 특히 김영배 의원은 우리나라 최초 아동친화도시인 성북구의 전 구청장으로서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김지혜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아동친화사회팀장은 아동친화도시가 이끈 주요 변화를 소개하고 민간 인증이 지닌 한계점을 극복하고 아동친화도시 활성화를 위한 핵심 방안으로 정부와 유니세프의 정책 파트너십 및 법제화를 제시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 김민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는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민관협력모델을 유형별로 제안하며 정책 실현을 위한 청사진을 밝혔다.
이어 토론에서는 최유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김형모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홍문기 서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아동친화도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책 마련과 조성 근거 법제화의 필요성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또한, 서울 성북구의 아동참여위원인 손서진 아동위원이 토론자로 나서 아동참여기구의 경험을 공유하며, 아동의 참여 경험이 전국 지자체로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채린 보건복지부 사무관도 토론에 참여해 향후 아동친화도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협력 계획을 밝히며 정책적 지원 의지를 밝혔다.
이날 행사를 공동 주최한 김영배 국회의원은 “2013년 11월, 성북이 대한민국 최초로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경험이 있다. 아동권리 보장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데 국회가 더욱 힘을 보태야 한다”라며, “오늘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정책 개선을 끌어내겠다”라고 밝혔다.
조미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는 아동권리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끌고, 거버넌스의 변화, 아동참여와 아동권리 교육의 제도화, 아동권리구제 등을 기반으로 아동권리 증진을 실현하는 강력한 플랫폼이다”라며 “이제는 이러한 지역사회의 변화가 유니세프아동친화도시 인증 지자체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지자체로 확대되어 대한민국 모든 아동의 권리 실현을 도모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