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학을 비롯, 종이, 에너지 등 분야에 걸쳐 지식을 알아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제61기 전통과학대학’을 오는 8월 29일부터 12월 5일까지 매주 목요일에 운영한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오는 17일 오후 2시, 서울 동대문구 산림과학관 2층 대회의실에서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제6회 지식의 숲 아카데미’를 개최한다. 국립광주과학관은 광주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오는 21일 오후 7시,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 303호에서 2024년 네 번째 과학스쿨을 개최한다.

국립중앙과학관, 제61기 전통과학대학 수강생 모집

전통과학대학 수강생 모집 홍보물. 이미지 국립중앙과
전통과학대학 수강생 모집 홍보물. 이미지 국립중앙과

국립중앙과학관은 ‘제61기 전통과학대학’을 오는 8월 29일부터 12월 5일까지 매주 목요일에 운영한다고 밝혔다. 전통과학대학은 과학·역사·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한자리에서 배우고 직접 느껴볼 수 있는 과학관의 대표 성인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번 전통과학대학에서는 ‘원조 한류 스타, 추사 김정희’를 시작으로 ‘국내 음식 여행’, ‘치매를 예방하는 습관’ 등의 강의와 함께 ‘전북 고창’, ‘강원 태백’, ‘경남 거창’에 대한 탐방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제61기 전통과학대학 수강생은 오는 8월 12일부터 8월 23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모집하며 각 과정별 수강료는 15만원(강의/탐방), 10만원(강의)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제6회 지식의 숲 아카데미’ 접수 시작

‘제6회 지식의 숲 아카데미’ 홍보물. 이미지 국립산림과학원.
‘제6회 지식의 숲 아카데미’ 홍보물. 이미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오는 17일 오후 2시, 서울 동대문구에 있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 2층 대회의실에서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제6회 지식의 숲 아카데미’를 개최한다.

‘지식의 숲 아카데미’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진행하는 숲에 관한 다양한 연구 내용을 일반 시민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지난 3월부터 매달 셋째 주 토요일에 개최되고 있으며, 숲과 나무, 과학 지식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이번 6회차 강의는 ‘나무에서 종이 그리고 소재’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종이의 의의를 되짚어보고, 나무에서부터 종이를 만들고 재활용되는 과정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된 펄프와 종이 기반의 친환경 신소재 개발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미래 소재로써 종이의 활용 가치에 대한 강의를 진행한다.

현재 온라인에서 오는 8월 16일까지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고 있으며,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회당 80명 이내) 신청할 수 있다.

국립광주과학관-GIST 2024 과학스쿨 4회 강연 ‘마이크로그리드 : 에너지 자급자족 공동체’ 개최

마이크로그리드 : 에너지 자급자족 공동체’ 홍보물. 이미지 국립광주과학관.
마이크로그리드 : 에너지 자급자족 공동체’ 홍보물. 이미지 국립광주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은 광주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오는 21일 오후 7시,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 303호에서 2024년 네 번째 과학스쿨을 개최한다.

이번 강연은 ‘마이크로그리드 : 에너지 자급자족 공동체’라는 주제로 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김윤수 교수를 초청해 우리 주변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작은 지역 전력망인 마이크로그리드와 에너지 자급자족 시스템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김윤수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전기컴퓨터공학부 공학사 및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전기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GIST 에너지융합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가상발전소 모델링, 에너지 최적 관리기술 개발, 전력망 해석기술 개발 등이다.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과학스쿨은 국립광주과학관 누리집에서 사전예약 후 현장 입장이 가능하다.

2024 과학스쿨 하반기 강연은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에서 진행되며 행사 참여시 추첨을 통하여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하고, 강연 참여 후기를 SNS에 게재하면 선착순으로 모바일 쿠폰을 제공한다. 그리고 새롭게 시작하는 하반기 스탬프 미션을 달성한 참가자들에게 특별한 기념품까지 별도로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