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을 감상하며 음악회와 전시, 체험행사를 즐기며 무더위를 달랠 수 있는 마당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덕수궁관리소는 오는 24일 오후 7시 덕수궁 석조전에서‘덕수궁 여름 음악회’를 개최한다. 창덕궁관리소는 오는 17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매주 수-일요일에 창덕궁을 찾는 관람객이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쉼터’로 창덕궁 약방을 개방한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은 오는 7월 17일부터 28일까지 덕수궁 돈덕전 기획전시실에서 ‘국가유산 수리기능인 양성과정’을 이수한 교육생들의 작품들을 모아 「제5회 국가유산 수리기능인 미래전」을 개최한다.
여름밤 물들일 덕수궁 석조전에서의 실내악 향연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과 함께 오는 24일 오후 7시 덕수궁 석조전(서울 중구)에서‘덕수궁 여름 음악회’를 개최한다.
이번 음악회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 지난 2021년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함께 마련한 네 번째 공연으로 작년과 같이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KNSO 국제아카데미 연주자들이 출연해 신선하고 열정 넘치는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음악회는 비극적이며 격정적인 드라마를 보는 듯한 ‘헨델-할보르센의 파사칼리아’로 시작해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선율의 ‘라세티의 플루트, 바순, 피아노를 위한 트리오 제1번, 작품 13’과 미국 원주민 음악과 흑인 영가에서 영향을 받은 경쾌한 리듬의 ‘드보르자크의 현악 사중주 제12번, 작품 96 <아메리칸>’이 연주돼 관람객들에게 실내악의 매력을 선사할 것이다.
공연은 무료로 진행(덕수궁 입장료 별도)되며 궁능유적본부 통합 누리집에서 오는 17일 오전 11시부터 선착순으로 80명까지 신청할 수 있다. 만 65세 이상 어르신과 장애인, 외국인은 10명에 한해 현장에서도 접수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덕수궁관리소(02-751-0740)로 문의하면 된다.
창덕궁 약방으로 떠나는 여름 궁궐 피서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는 오는 17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한 달간 매주 수-일요일에 창덕궁을 찾는 관람객이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쉼터’로 창덕궁 약방을 개방한다.
이번 한 달간의 약방 개방은 여름철 안전사고 예방차원에서 창덕궁을 찾는 관람객이 폭염을 피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실내공간을 제공하고 국민의 문화유산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취지로, 약방을 찾는 관람객은 약방 궁중일상 전시관람, 약향주머니 만들기 체험, 궁중 청량음료 시음 등의 체험을 비롯해 동의보감 등 관련 도서를 읽으며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궁중문화를 직·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개방기간 동안 약방을 찾는 관람객들은 △약탕 조제도구 등 재현품 전시관람(7.17-8.18.) △약향주머니 만들기 체험(매주 금·토요일 50명 선착순)과 함께 건강하고 시원한 여름을 날 수 있도록 △내의원에서 올린 청량음료 제호탕과 오미자 시음(매일 약 100잔, 오후 1시부터 재료 소진 시까지) 등의 다양한 체험활동을 즐길 수 있다. 무료로 제공되는 제호탕은 더위와 열을 식히고 갈증을 해소하여 주는 음료로, 여러 문헌기록에 따르면 단옷날 궁중 내의원에서 제호탕을 만들어 올리면 임금이 기로소에 하사했다.
또한, 온열질환을 해소하는 탕제(탕약)의 재료로 활용됐던 오미자는 기호 식품으로 선호도가 높았으며, 조선왕조실록에는 성종이 온열질환을 앓을 때 오미자탕(五味子湯)을 처방받았다고 기록되어 있고, 영조가 평소 오미자차를 즐겨 마셨다는 기록도 있다.
약방 내부입장은 창덕궁 관람객이면 누구나 무료(단, 창덕궁 입장료 별도)로 이용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창덕궁 누리집을 확인하거나 전화(02-3668-2300)로 문의하면 된다.
국가유산 수리기능 인재들의 손재주 담긴 작품 40점 만난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은 오는 7월 17일부터 28일까지 덕수궁 돈덕전 기획전시실(서울 중구)에서 ‘국가유산 수리기능인 양성과정’을 이수한 교육생들의 작품들을 모아 「제5회 국가유산 수리기능인 미래전」을 개최한다.
올해로 다섯 번째 개최되는 국가유산 수리기능인 미래전은 국가유산 수리기능인 양성과정 교육생들이 박물관 등에 소장된 유물과 전통사찰에 있는 유물을 실측해 전통기법으로 재현한 작품들을 선보이는 전시로, 전통공예의 멋스러움과 우리 전통수리기술의 우수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단청, 모사, 옻칠, 소목, 철물, 도금 및 보존처리 등 다양한 종목의 제작품과 수리작품 총 40점이 전시될 예정이며, 특히 올해는 옻칠, 단청, 도금 종목 작품들의 제작 과정까지 단계별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통문화교육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유산수리기능인 양성과정’은 「국가유산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유산 수리현장에서 국가유산을 직접 수리할 수 있는 전문 기능인의 체계적 양성을 목표로 한다. 각 분야별 최고 장인을 위촉해 실기 중심의 교육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국민 누구나 기초·심화 단계를 거쳐서 전통수리기술의 전승을 위한 국가유산 수리 기능인이 될 수 있다.
「제5회 국가유산수리기능인 미래전」과 ‘국가유산수리기능인 양성과정’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누리집 공지사항과 전통문화교육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