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회 베니스 인 서울이 2월 16일 오후 7시 30분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에서 개막식을 열고 11일간의 영화축제에 들어갔다. "베니스 인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긴 역사를 지닌 국제영화제인 베니스영화제의 최신 상영작을 서울에서 상영하는 영화제이다. 제11회 베니스 인 서울은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베니스비엔날레, 주한이탈리아문화원이 함께  2월 26일까지 진행한다. 

Venice in Seoul 포스터. 이미지 주한이탈리아문화원
Venice in Seoul 포스터. 이미지 주한이탈리아문화원

알베르토 바르베라 베니스영화제 집행위원장은 “한국 작품들은 다른 많은 나라들에게는 멀고 이질적인 문화의 산물일지라도 폭넓은 관객층, 특히 젊은 층을 끌어들일 수 있음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실제로 이런 작품들은 어떤 언어로 되어 있든, 모든 사람이 그 속에서 자신의 문화를 인식할 수 있는 형식과 내용을 담고 있다”면서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한결같은 이탈리아 문화원의 관대하고 효율적인 협력으로 실현되어 온 ‘베니스 인 서울’영화제의 제11회를 선보이게 된 것을 각별히 영광스럽고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최근 몇 년 간 이탈리아 문화와 한국 문화 간의 교류를 공고히 한 담대한 사업으로,아시아의 누벨바그가 세계로 뻗어나가는 데 있어서 초기부터 기여한, 뉴 코리안 시네마와 베니스 국제영화제 사이의 20년 넘는 강한 유대관계에서 출발한 것이다”고 말했다.

주한 이탈리아 문화원 미켈라 린다 마그리 문화원장은 16일 열린 개막식에 참석하여 “‘베니스 인 서울’영화제는 이미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 산업에 관심이 많은 이탈리아 영화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높이 평가되는 주한 이탈리아 문화원의 유서 깊은 행사로 자리매김했다”면서 “금년에 ‘베니스 인 서울’영화제는 신작 및 고전 영화들을 통해 한국 영화 애호가들에게 종교적 신앙이나 세대 차이 등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제시한다. 이번 영화제는 한국의 관객에게,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직면하는 온갖 모순과 편견 및 어려움이 내재한 이탈리아 사회의 가장 내밀한 모습들을 들여다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올해 ‘베니스 인 서울’은 개막작인 <키아라>(수산나 니키아렐리, 2022)와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의 <테오레마>(1968)를 포함해 모두 8편의 작품을 상영한다.

13세기 실존했던 성녀 클라라의 삶을 그린 <키아라>(수산나 니키아렐리, 2022) 는 여성 주인공의 시선으로 시대를 넘어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바른 가치가 무엇인지 되새긴다. 실제 인물의 삶을 극화한 <개미 대왕>은 성소수자의 행복해질 권리와 예술의 자유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모니카>(안드레아 팔라오로, 2022)는 조금은 특별한 사연을 간직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우리 주위를 살펴보게 만드는 힘을 가진 아름다운 작품이다. <가뭄>(파올로 비르치, 2022)은 비가 오지 않는 가상의 로마를 배경으로 인간군상의 욕망을 묘사하며 우리 사회의 문제를 고발하는 강렬한 작품이다. IS 활동가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기록해 많은 주목을 받은 다큐멘터리 <매치메이커>(베네데타 아르젠테리, 2022)는 민감한 소재 속에서도 ‘지구촌’의 커다란 상처인 민족 간 갈등과 여성 인권의 문제를 과감하게 다룬다. 이처럼 올해 상영작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조건을 보편적 인권의 차원에서 살펴보고 근심하는 작품들이 많다는 점이 특징이다.

베니스 클래식 섹션에서도 주목할 작품을 볼 수 있다.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의 <테오레마>는 파솔리니의 문제작 중 한 편으로 부르주아 중산층의 위선적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감독의 세계가 가장 잘 드러난 작품 중 한 편이다. 파격적인 전개 속에 60년대 소비 사회의 위기, 부르주아의 공허, 청년의 방황 등의 문제를 성찰하게 한다. 국내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루치아노 살체(1922~1989)는 서른 편이 넘는 작품을 연출하고 예순 편이 넘는 작품에 배우로 출연한 정열적인 영화인으로, 파시즘과 계급 격차 같은 이탈리아 사회의 갈등과 그림자를 코믹한 연출로 풀어낸 창작자이다. 이번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영하는 <미친 욕망>(1962) 역시 우고 토냐치의 명연기와 함께 중산층 남성의 욕망을 우스꽝스럽고 씁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다큐멘터리 <세르지오 레오네: 미국을 발명한 이탈리아인>(프란체스코 치펠, 2022)는 세르지오 레오네의 매혹적인 작품에 보내는 후배 영화인들의 존경이 담긴 작품이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마틴 스콜세지, 스티븐 스필버그, 엔니오 모리꼬네 등 거장들이 세르지오 레오네에게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그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곽용수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이사장은 “올해 열리는 “2023 베니스 인 서울”에는 현재 사회가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힘을 합쳐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하는 작품이 많다”며 “개막작인 <키아라>을 포함해 보편적 인권의 문제와 연대의 가치를 되새기는 이탈리아의 영화들은 한국의 관객들에게도 많은 공감을 이끌어낼 것이다. 클래식 섹션에서 만날 수 있는 이탈리아의 고전인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의 <테오레마>(1968)와 루치아노 살체의 <미친 욕망>(1962) 역시 계급과 세대 등 60년대 당시의 사회적 단절이란 문제를 날카로운 시선으로 묘사한 작품이다”고 소개했다. 이어 “‘2023 베니스 인 서울’에서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이탈리아의 고전과 동시대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하며 내일의 희망을 위한 새로운 지혜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용철 평론가와 김성욱 프로그램디렉터는 각각 <개미 대왕>과 <테오레마>에 관한 시네토크를 진행한다. 이용철 평론가는 2월 18일 오후 4시 <테오레마> 상영 후 ‘파솔리니의 사막과 기적의 표상’을 주제로 시네토크를 진행한다. 2월 19일 오후 3시 40분 <개미 마왕> 상영 후 ‘지안니 아메릴오가 걸어온 길과, 옷장 속의사람들’을 주제로 시네토크를 진행한다.

또한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와 <다음 소희>를 2월 14일, 18일, 21일, 28일 특별 상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