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기록원(원장 박경국)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광업(鑛業)·미곡(米穀) 정책의 실상을 보여주는 '일제문서 해제(광업·미곡편)'를 발간한다고 25일 밝혔다.(제공=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은 대일항쟁기 조선총독부의 광업·미곡 정책의 실상을 보여주는 '일제문서 해제(광업·미곡편)'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해제집은 조선총독부의 광업 및 미곡 정책 관련 문서 1,243권의 내용을 해설하고 있다.
 
공업과 관련해서, 조선 내 광산 개발과 조선총독부 출원허가를 신청하거나 변경 관련 문서들의 내용과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

당시 동양 최대 금광이었던 운산금광의 매매 과정을 보여주는 '운산금은광산관계서'가 포함돼 주목된다.
 
운산금광은 1895년 미국인 모오스가 조선으로부터 채굴계약을 체결, 특허권을 확보해 40여 년간 운영한 것으로 1939년 일본 광업주식회사가 인수했다.
 
'운산금은광산관계서'에는 운산금광 매매와 관련해 조선총독부, 일본 대장성, 일본광업주식회사, 동양합동광업회사 간에 왕래한 문서들이 있다.

이를 통해 운산광산 매매 과정에 일본 대장성이 깊이 개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금광 매매 금액은 3000만 원(817만 5000달러)이었다. 3회로 분할해 송금하되 광업권 이전(移轉)과 동시에 830만 원을 송금하고, 잔액은 3년 거치 후 2회로 분할 송금하기로 했다. 대장성이 송금을 승인하고 편의를 제공하기로 하면서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미곡과 관련해서 1930년대 조선과 일본의 풍작(豊作)에 따른 미곡 가격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미곡창고 건설, 조선 미곡의 일본 대량 방출방지 관련 문서들이 설명돼 있다.
 
일본 정부는 조선 미곡의 무차별적인 일본 이입을 엄격히 통제하기 위해 조선총독부와 긴밀하게 협의했다. 이를 위해 조선 미곡을 조선 내에 보관할 수 있는 미곡창고 건설을 적극 추진했다는 문서들이 상당수 차지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해제집은 국공립 도서관, 대학도서관 등에 배포되며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한편, 국가기록원은 조선총독부 문서 활용을 위해 지난 2000년부터 매년 '일제문서 해제'를 발간해왔다. 이번 '광업·미곡편'을 끝으로 해제 작업을 마무리한다고 밝혔다.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조선총독부 문서가 고어체, 흘림체 일본어로 돼 있어 그동안 일반인들의 접근이 어려웠다"며 "해제집을 통해 일반인들도 쉽고 편리하게 문서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