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항쟁기 우리 한글을 지키려 전국의 말들을 모았던 치열한 그들의 이야기 영화 '말모이'. 자료 영화 공식누리집.
대일항쟁기 우리 한글을 지키려 전국의 말들을 모았던 치열한 그들의 이야기 영화 '말모이'. 자료 영화 공식누리집.

‘말모이’란 무엇인가?

말모이란 말을 모은다는 뜻으로 말을 모으는 운동이자 편찬하고자 하였던 사전의 이름이다. 영화 <말모이>는 엄유나 감독, 영화배우 유해진(김판수 역), 윤계상(류정환 역) 주연으로 2019년 1월에 개봉된 영화이며, 대일항쟁기 때 한글이 사라질 위기에서 조선어학회가 한글 사전을 만들었던 이야기이다.

영화는 일제가 조선을 영구히 지배하기 위하여 민족정신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조선의 말과 글을 금지하였고 급기야 1942년 조선어학회를 항일독립운동단체로 몰아 관련 인사들을 대거 체포 및 투옥했던 ‘조선어학회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조선어학회는 주시경 선생의 제자들이 만든 학회로 조선어 큰 사전 편찬 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에 일제는 조선어학회를 해체하기 위해 기차에서 여고생이 조선말을 하다가 잡힌 사건을 조작하여 조선어학회 회원과 관련자들을 체포하여 조선어학회를 해산하였던 것이다.

조선어학회 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사진 영화 공식누리집.
조선어학회 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사진 영화 공식누리집.

영화 <말모이>는 조선어학회에서 한글 사전 편찬을 주도한 류정환과 까막눈에 전과자이지만 조선어학회에서 심부름만 하다가 한글을 배우면서 생각을 키워 나갔고 결국 자식들과 나라를 위해 한글 사전 편찬을 위해 몸을 바쳤던 김판수, 그리고 그들을 막기 위해 갖은 방해 공작을 하는 일본 경찰 우에다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1940년대 우리말이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 경성, 극장에서 해고된 후 아들 학비 때문에 가방을 훔치다 실패한 판수. 하필 면접 보러 간 조선어학회 대표가 가방 주인이었던 정환이다. 정환은 판수가 마음에 안 들었지만, 다른 회원들이 판수를 반겼던 탓에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인다. 한편 조선어학회를 눈엣가시로 여기던 조선총독부 소속 경찰 우에다가 조선어학회를 압박해 온다. 정환이 판수를 받아들이면서 도둑질, 주먹질, 결근, 지각, 농땡이는 안 된다고 했는데, 어느 날 지각하게 된 판수는 이를 모면하기 위하여 딸 순희를 데리고 출근한다.

정환 : “제가 분명히 지각 안 된다고 말씀드리지 않았습니까.”
판수 : “(딸을 내세우며) 자 앞으로 안 늦을게요. 그래”
순희 : “앞으로 안 늦을게요.”

이때 마침 지하 비밀장소에서 올라오는 구자영(김선영 분)을 판수가 보게 된다.

판수 : “거기가 뭔데 거기서 나와?”
자영 : “저 좀 도와주셔야 돼요.”

우에다가 책방을 다녀간 후 불안함을 느낀 자영은 지하 비밀장소로 자료를 옮기는 중이었다.

판수 : “이게 다 이게 뭐예요. 이게?”
자영 : “다 말이죠.”
판수 : “돈을 모아야지. 말을 모아서 뭐해.”
자영 : “공동체 정신이 말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 거거든요.”
판수 : “(웃으며) 공동체 정신? 별게 다 있네.”

그러는 동안 정환은 판수의 딸 순희에게 호떡을 주며 다정하게 이야기를 나눈다.

정환 : “호떡이 왜 호떡인 줄 알아?”
순희 : “왜요? 왜 호떡인데요?”
정환 : “우리나라에 들어온 남의 나라 군대를 한자로 호(胡)라고 하는데, 청나라 군대가 들어 온 적 있어.”
판수 : “(비웃으며) 애가 잘도 알아듣겠다.”
순이 : “오랑캐 호”
정환 : “아이고, 잘한다.”

우리 말을 우습게 알던 주인공 판수는 까막눈에서 글을 깨치면서 개천하게 된다. 한편 우에다는 정환에게 창씨개명을 요구하고 경성제일중고 이사장으로 친일파가 된 정환의 아버지 류완택은 정환이 하는 일을 못마땅해한다.

조선어학회는 한글 연구와 보급을 위해 ‘한글’이라는 학술잡지를 창간한다. 잡지 발간을 앞두고 잡지 원고를 인쇄소에 넘기는 일을 판수가 자청해서 하기로 한다. 한편 조선어학회 회원 임동익은 함께 뜻을 모았던 문화인들이 일본의 앞잡이가 된 것을 알고 항의하다가 일방적으로 당하고 이를 본 판수는 그를 구하기 위해 싸움에 휘말리게 된다. 정환은 인쇄비까지 들고 나간 판수가 제때에 돌아오지 않자 돈을 들고 도망간 것으로 의심한다.

한편 임동익을 데리고 돌아온 판수는 약을 찾다 정환의 오해를 사게 되고 화가 난 판수는 문을 박차고 책방을 나가게 된다. 뒤늦게 사실을 알게 된 정환은 판수에게 사과하기 위해 그의 집을 찾아간다.

판수 : “또 뭔 소리로 사람 상처 줄려고 여까지 찾아오셨데?”
정환 : “선생님 민들레가 왜 민들레인지 아십니까? 문 주변에 흐드러지게 많이 피는 꽃이라 해서 문들레... 그래서 민들레가 되었다고 합니다. 저희 아버지가 알려주신 겁니다.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이 더 큰 걸음이라고, 세상 마을 사람에게 글을 가르치셨거든요. 그러면 민들레처럼 그 걸음걸음이 퍼져나가 세상을 바꾸고 결 국엔 독립을 이룰 수 있다고요.”
정환 : “그랬던 아버지가 언젠가부터 친일을 하더군요. 그게 너무 싫고 원망스러워서 도망치 듯 유학을 떠났던 겁니다. 그때는 제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더라구요. 근데 유 학을 떠난 지 5년 만에 집에 돌아오던 길에 경성역에서 순희 또래의 한 아이와 부딪 혔는데 그때 결심했습니다.
사전을 만들겠다고, 사람이 모이는 곳에 말이 모이고, 마 음이 모이는 곳에 그 뜻이 모이고, 그 뜻이 모인 곳에 비로소 독립의 길이 있지 않겠 냐고, 우리 동지들을 설득했죠.”
정환 : “제가 어리석었습니다. 사람 귀한 줄 모르고, 용서해주십시오.”

위 주인공 판수와 정환의 대화 속에서 영화 <말모이>에서 말하고자 했던 사전 편찬의 이유와 목적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독립운동으로 연결되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판수와 정환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개천하였고 하나가 될 수 있었다. 이것이 바로 영화 <말모이>가 주는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이자 울림이다.

결국 우에다가 이끄는 조선총독부 경찰이 들이닥치고 일명 ‘조선어학회 사건’이 터진다. “내 나라 말로 책 한 권 만들겠다는데 뭐가 문제요”라고 묻자 우에다는 총격을 가하는 것으로 답한다. 그동안 전국 각지로부터 받아 모아 두었던 ‘말모이’ 원고를 다 빼앗기게 된다.

류완택 : “조선이 독립이 될 것 같으냐?"
류정환 : “그럴수록 더더욱 말모이를 남겨야 할 거 아닙니까!”
류완택 : “조선이라는 나라가 사라진 지 언젠데! 너를 살려주는 조건으로 가입시키로 약속했 다.”(국민총력조선연맹 가입 신청서)

1940년에 조직된 친일 단체인 국민총력조선연맹은 조선을 일본에 완전히 통합하고자 내세운 표어, ‘내선일체’를 목표로 친일 지식인들을 앞장세워 선동 및 선전 활동을 펼쳤으며 징병제를 실시하여 신동아 건설을 이루고자 하였다.

하지만 정환을 비롯한 조선어학회 회원들은 거부한다. 일제의 눈을 피해 비밀리에 공청회를 열고 ‘말모이’ 원고를 다시 모았으나 판수의 아들을 협박해 비밀 공청회 장소를 알아낸 우에다는 경찰 병력을 이끌고 급습한다.

다행히도 정환과 판수는 원고를 갖고 도망치지만 일본 경찰의 포위망을 뚫을 수 없게 된다. 이때 정환은 원고를 판수에게 넘기고 일본 경찰에게 붙잡힌다. 판수는 원고를 갖고 부산으로 이동하다가 일본 경찰로부터 쫓기고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

시간이 흘러 광복을 맞이하여, 마침내 우리말 큰 사전이 완성되었다. 정환은 판수의 아들 덕진과 딸 순희에게 사전을 전해주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한 사람의 열 발자국보다 열 사람의 한 발자국이 더 낫다.”

영화 '말모이' 중 전국 팔도의 말들을 모으던 장면. 사진 영화 공식누리집.
영화 '말모이' 중 전국 팔도의 말들을 모으던 장면. 사진 영화 공식누리집.

대일항쟁시대, 우리 말과 글을 지키고자 하였던 스토리를 담은 영화 <말모이>에 등장하는 말이다. 이 말의 뜻은 결국 역사를 창조하는 주체는 사람이며, 그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역사를 창조할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동안 <암살>, <밀정> 등 대일항쟁을 주제로 만든 영화들이 많이 있었다. 대일항쟁기의 역사는 아프고 슬픈 역사이기에 영화 소재로는 자주 등장하였지만 영화로 만들어지면 흥행하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다양한 관점과 새로운 해석으로 대일항쟁의 역사를 다시 쓴 영화들은 많은 울림을 주기에 충분했고 흥행까지 하게 되었다. 하지만 영화 <말모이>는 기존 영화와는 다른 점이 있다. 주인공이 인물이 아니라 우리 말과 글이다. 말은 마음의 알맹이며, 글은 말을 기록하기 위하여 긋는 것을 의미하고 긋다가 그 어원이 된다. 어원적으로 보면 글과 그림은 같은 말에서 비롯되었다.

우리말을 모은다는 의미이자 영화 제목이기도 한 <말모이>는 실제 주시경 선생이 1911년부터 만들기 시작했다고 알려진 최초 국어사전의 원고를 일컫는 말이며, “사람이 모이면 말이 모이고, 말이 모이면 뜻이 모인다”는 메시지를 함축하고 있다.

이 땅의 독립을 위해 애쓰신 모든 분과 우리 말과 글을 지키고 우리의 고유한 정신과 빛나는 얼을 위대한 유산으로 물려주신 분들을 잊지 말고 오래 기억해야 할 것이다. 그 기억이 우리의 고유함을 이어주기 때문이다.

“말은 민족의 정신이요, 글은 민족의 생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