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위기 시대에 지역의 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다양한 거점 육성사업이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체류형 생활인구를 확보해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고향올래(GO鄕 ALL來)사업’ 공모 결과 최종 21개 지자체를 선정했다. 국토교통부는 지역의 주거·관광·산업 여건을 개선하고, 맞춤형 성장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개발사업 11건을 지난달 선정했다. 해양수산부는 ‘스마트양식 빅데이터센터’ 사업자로 ‘부산광역시’를 최근 선정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2024 열린관광지’ 30개소를 새롭게 선정·지원한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새로운 지방시대로의 대전환을 위해 8월 16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지방시대 혁신성장 정책포럼」을 출범했다.

고향올래(GO鄕 ALL來) 사업 최종 21개 지자체 선정

행정안전부는 체류형 생활인구를 확보해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고향올래(GO鄕 ALL來)사업’ 공모 결과 최종 21개 지자체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고향올래 사업은 지방소멸 위기, 인구 이동성 증가 등 급변하는 정책환경을 반영해 정주인구가 아닌 체류형 생활인구 확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근간을 마련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시행된다. 이번 공모사업은 접수된 총 52곳을 대상으로 사위원단이 실무검토, 서면심사 및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했고, 총 200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먼저, 여가·휴양·체험 등을 목적으로 지역과 관계를 맺으며 추가적인 생활거점을 가질 수 있도록 거주 공간, 체험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는 ‘두 지역 살아보기’ 분야에는 강원 춘천, 전남 고흥, 전남 영암, 경남 사천 4곳이 선정됐다. ‘로컬유학 생활인프라 조성’ 분야에서는 강원 인제, 전북 김제, 전북 진안 3곳이 선정됐다.

정부와 지자체는 도시 거주 학생들이 로컬학교에 일정기간(6개월 이상) 전학해 가족 전체 또는 일부가 함께 이주해서 지역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거주시설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사회적으로 고립되기 쉬운 은퇴자를 대상으로 주민등록상 거주지 외 다른 지역에서 공동체 생활을 통한 상호교류가 가능토록 거주시설과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는 ‘은퇴자 공동체마을 조성’ 분야에는 제주 1곳이 선정됐다.

청년층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청년이 지역 정착을 하는데 가장 큰 애로사항인 일자리와 주거시설을 동시에 지원하는 ‘청년 복합공간 조성’ 분야에는 충북 증평, 전북 고창, 전남 광양, 경북 청도 4곳이 선정됐다. ‘워케이션’ 분야에서는 부산 해운대, 울산 동구, 경기 가평, 강원 평창, 전남 곡성, 전남 순천 6곳이 선정됐다.

정부는 참여자가 근무할 수 있는 사무시설을 구축하고, 근무 외 시간에 해당 지역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교류 등 특화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자율과제’ 분야에서는 강원 정선, 충남 청양, 경북 구미 3곳이 선정됐다. 정부는 다양한 층의 생활인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지역 특색을 반영해 거주시설과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개발사업 공모결과 11곳 선정

국토교통부는 지역의 주거·관광·산업 여건을 개선하고, 특화산업 육성 등 맞춤형 성장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개발사업 11건을 지난달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역개발 공모사업은 지역에 민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국비(최대 100억원), 규제특례 등을 제공하는 투자선도지구와 기반시설 및 생활편의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국비(최대 25억원)를 지원하는 지역수요맞춤지원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선정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투자선도지구사업은 동해시의 무릉별유천지 관광자원화, 양구군의 스포츠 행정복합타운, 양양군의 양양역세권 개발, 영광군의 e-모빌리티 클러스터이며, 지역수요맞춤지원사업은 정선군의 아트플랫폼, 괴산군의 한지복합문화센터, 보은군의 동거동락 나누는 어울터, 공주시의 정안초 살리기, 구례군의 워킹 촌스데이, 영주시의 일주 보행로길, 하동군의 하동차 엑스포가든이 선정됐다. 

김정희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은 “올해 선정된 사업이 원활한 사업추진을 통해 지역의 관광·산업 등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부산에 ‘스마트 양식 빅데이터센터’ 만든다

스마트양식 빅데이터센터 개념도
스마트양식 빅데이터센터 개념도

해양수산부는 ‘스마트양식 빅데이터센터’ 사업자로 ‘부산광역시’를 최종 선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스마트양식 빅데이터센터’는 양식업의 스마트화를 위한 필수 기반시설로, 양식시설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결합해 양식장 운영과 관련된 사육‧경영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7월 25일까지 전국 시‧도를 대상으로 사업 공모를 진행했고, 신청 지자체를 대상으로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서류심사와 대면평가를 실시했다.

부산광역시는 해양수산 관련 공공기관, 대학, 유통‧가공업체뿐만 아니라 창업기업 등이 다수 위치해 있어, ‘스마트양식 빅데이터센터’를 통해 수집‧가공‧분석된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향후 ‘부산광역시’에서 구축할 데이터 통합플랫폼을 빅데이터센터와 연계해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빅데이터센터는 부경대학교의 기존 시설을 리모델링해 구축할 예정이다.

모두가 누리는 장애물 없는 여행, ‘2024 열린관광지’ 찾아요

‘열린 관광지’ 공모 홍보물[이미지 문화체육관광부]
‘열린 관광지’ 공모 홍보물[이미지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2024 열린관광지’ 30개소를 새롭게 선정·지원한다. 이를 위해 오는 9월 15일까지 광역·기초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한다.

관광 분야의 대표적인 약자 프렌들리 정책인 ‘열린관광지’ 사업은 관광지의 보행로, 경사로 정비 등 이동 불편을 해소하고 장애 유형별로 즐길 수 있는 체험 콘텐츠 등을 통해 누구에게나 편리하고 즐거운 여행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특히 올해 공모에서는 기존의 연 20개소 지원에 10개소를 더한 30개소를 선정해 장애인, 고령자 등 관광 취약계층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관광지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열린관광지는 전국 132개소로, 이 중 112개소의 조성이 완료돼 관광취약계층이 함께하는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장애인 특화 여행코스로 유명한 연곡해변 캠핑장 유니버설디자인 카라반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춘천 의암호 킹카누 △산정상까지 휠체어로 오를 수 있는 비슬산 군립공원 △타포니 지형을 촉각과 해설로 경험할 수 있는 진안 마이산 도립공원(마이산 탑사) 등이 열린관광지 사업으로 조성된 곳이다.

이번 공모는 서면 심사와 현장평가로 진행한다. 선정된 지자체에는 △관광지별 맞춤형 컨설팅 △주요 관광시설의 편의시설 개보수 △장애 유형별 관광콘텐츠 개발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문체부와 관광공사는 열린관광지 중심의 취약계층 나눔여행을 추진하고 온·오프라인 홍보를 지원해 국민 누구나 선호하는 관광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계속 뒷받침한다.

상세한 공모 내용과 신청 양식은 문체부 누리집의 ‘알림’ 게시판과 무장애 관광 누리집 ‘모두의 여행’의 ‘열린관광 정보교류’ 게시판, 한국관광산업포털 누리집의 ‘공모’ 게시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지방시대 대전환 첫걸음, 「지방시대 혁신성장 정책포럼」 출범

산업통상자원부는 새로운 지방시대로의 대전환을 위해 지난 16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지방시대 혁신성장 정책포럼」을 출범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여 년간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펼쳤으나 수도권 집중은 심화돼 현재 생산과 인구의 50% 이상이 수도권에 몰려있다. 윤석열 정부는 수도권 쏠림이 중앙집권적 정책 추진의 결과로 인식하고, 정책 패러다임을 중앙 주도에서 ‘지역 주도형’으로 과감히 전환해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고자 한다.

포럼은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철학을 반영해 지방의 시각에서 지역 이슈를 발굴하고 정책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으로, 필요시 대통령 주재 중앙지방협력회의, 지방시대위원회 안건으로도 상정할 계획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공정·자율·혁신의 지방시대 대전환’을 기조로 8개 주제를 심도 깊게 다루었다. 특히, 기회발전특구, 지방투자 핵심규제 등에 관심이 쏠렸다.

이정현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방시대’라는 단어처럼 대한민국 경제가 지방을 통해 다시 한번 도약하도록, 중앙과 지방의 변화 방향과 현실적 대책을 포럼을 통해 만들어 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